의료비 후불제 융자 한도 내달부터 500만 원으로
동아일보
업데이트 2025-11-12 10:52
2025년 11월 12일 10시 52분
장기우 본부장
대전충청취재본부
충북도의 신개념 의료복지 정책인 ‘의료비 후불제’ 융자 한도가 다음 달부터 500만 원으로 상향된다. 도는 300만 원이었던 무이자 융자 지원액 상한을 500만 원으로 올리고, 수혜 대상에 한부모 가족도 추가한다고 12일 밝혔다. 또 수술이나 시술을 하지 않아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이 제도는 큰돈이 필요해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는 취약 계층에게 의료비를 빌려주고 무이자로 분할 상환하는 전국 최초의 의료복지 제도이다. 김영환 충북도지사의 민선 8기 대표 공약 가운데 하나로 시작됐다.
이번에 포함된 한부모 가족을 비롯해 도내 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국가유공자, 다자녀 가구(2자녀 이상) 등이 대상이다. 해당 질병은 △임플란트 △치아교정 △인공 슬관절 △인공 고관절 △심혈관 △뇌혈관 △척추 △암 △소화기(담낭, 간, 위, 맹장) △호흡기 △산부인과 △비뇨기과 △골절 △안과 등이다. 신청자는 무이자로 3년간 융자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재원은 50억 원 규모다. 도내 13개 종합병원급 의료기관과 치과, 병의원 284곳이 참여하고 있다. 2023년 1월 9일 시작해 이달 10일까지 2210명이 혜택을 받았다. 질환별로는 임플란트(틀니 포함) 1684명, 치아교정 152명, 척추 113명, 슬관절 75명, 골절 53명 등의 순이었다. 상환율은 99%다.
의료복지 혁신 모델로 주목받으면서 서울시가 내년부터 도입을 결정했다. 경기도는 정책토론회 개최 및 조례 제정을 추진 중이다. 19~21일 울산에서 열리는 지방시대 엑스포의 ‘기념사회관 우수 사례’로 전국에 소개될 예정이다.
김 지사는 “이번 조치로 의료비 후불제 접근성이 대폭 향상되고, 실질적인 의료사각지대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제도의 효과성과 지속 가능성을 면밀히 검토해 지원 범위를 전 질환으로 확대하고 도민 누구나 의료비 걱정 없이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