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유공자의 자녀로 의료급여 지원을 받고 있는데 분가를 해도 계속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5.18민주유공자의 자녀로 의료급여 지원을 받고 있는데 분가를 해도 계속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보훈안내자료 FAQ(자주하는 질문)

5.18민주유공자의 자녀로 의료급여 지원을 받고 있는데 분가를 해도 계속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0 2,155 2020.02.13 03:47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5.18민주유공자의 자녀로 의료급여 지원을 받고 있는데 분가를 해도 계속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ㅁ 답변내용


● 5・18민주유공자의 자녀로 의료급여 지원을 받고 있던 자녀가 5・18민주 유공자와 주민 등록을 분리할 경우에는 의료급여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5・18민주유공자의 자녀는 5・18민주유공자와 세대별 주민등록표에 기재되어 있고 실제 거주를 같이하는 경우에 발급 가능합니다.


● 5・18 민주화운동 관련자의 의료급여 발급은 우리처가 아닌 자치단체에서 발급하고 있습니다.


※ 5・18 민주화운동 관련자의 의료급여법 적용법령은 「5・18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 등에 관한 법률」 로 행정안전부 소관법령임∙ 우리처 소관법령은 「5・18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


● 5・18 민주화운동 관련자의 가구인정 범위


- 「5・18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 등에 관한 법률」 에 의거 보상금을 받은 자와 동일가구 구성원으로서 당사자의 배우자, 직계존속*, 자녀(배우자 포함), 미성년 손자녀(외손자녀 포함), 미성년 형제자매


* 5・18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선정된 이후 당사자 본인과 결혼한 배우자, 출산한 자녀도 포함(재혼한 배우자의 자녀로서 주민등록상 동일 가구일 경우 포함)


* 직계존속은 당사자의 직계존속만 인정


* 주민등록상 등재되어 있고 실제 주거를 달리하는 경우는 제외(단, 교육상의 사유로 주거를 달리하는 경우에 한하여 가족에 포함)


※ 그 밖의 자세한 사항은 자치단체로 문의


ㅁ 관련규정


● 「5・18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 등에 관한 법률」 제8조


● 「의료급여증(1종) 발급지침」


자료제공 : 국가보훈처 


Comment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추천
74 의료 위탁병언에서 받은 진료의뢰서로 국가보훈처 지원외의 병원에 입원(치료)할 경우 지원이 되는지 2020.02.13 1835 0
73 의료 독립유공자 국립현충원으로 이장 절차는 2020.02.13 1822 0
72 의료 보훈병원 진료 예약 시 진료대기 기간이 긴 데 단축 방안은 없는지 2020.02.13 1810 0
71 의료 일반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지불한 진료비의 환급이 가능한지 보훈병원 또는 위탁병원이 아닌 일반병… 2020.02.13 1733 0
70 의료 의료급여증(1종) 발급자는 1차, 2차, 3차 진료기관에서 순차적으로 진료절차를 거쳐야 하는지 2020.02.13 1732 0
69 의료 의료급여증(1종)으로 진료를 받을 경우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진료비가 있는지? 2020.02.13 1731 0
68 의료 보훈병원 홍채인식 본인확인서비스란 무엇인지 2020.02.13 1700 0
67 의료 무공수훈자 등 75세 이상 위탁병원 진료비 감면지원 시행 이후 제도를 알지 못해 진료비를 납부… 2020.02.13 1699 0
66 의료 고엽제후유의증환자는 모든 질병이 국비로 진료가 되는지 2020.02.13 1691 0
65 의료 보훈병원 입원은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는 지 2020.02.13 1664 0
64 의료 국가유공자 및 유족의 고령화에 맞춰 보훈요양병원을 확대할 계획은 없는지 2020.02.13 1661 0
63 의료 독립유공자의 자부에 대한 의료지원은 2020.02.13 1655 0
62 의료 국가유공자와 동거한 자부일 경우 감면진료대상이 되는지 2020.02.13 1644 0
61 의료 독립유공자 포상 신청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2020.02.13 1613 0
60 의료 국가유공자(유족)이 지역보건소를 통해 치매치료를 받을 경우 정부지원금을 별도로 받을 수 있는지 2020.02.13 1563 0
59 의료 상완골(위팔뼈)뼈 상이처 수술로 10센티미터 흉터가 있어 반팔 등 팔을 드러내놓을 수 없는 경… 2020.02.13 1562 0
58 의료 국비진료대상자 등이 위탁병원 진료 시 입원기간 또는 진료비 한도액 등에 제한이 있는지 2020.02.13 1559 0
57 의료 5·18민주화운동부상자 및 특수임무부상자로서 상이등급 미달자에게 상이처 관련 보철구를 지급할 … 2020.02.13 1554 0
56 의료 국가유공자 유족 및 가족 등에 대한 의료지원은 무엇인지 2020.02.13 1552 0
55 의료 독립유공자 무료진료증 발급지역 및 지정의료기관 명단을 알 수 있는지? 2020.02.13 1533 0
54 의료 신체검사 결과 등급기준에 미달된 경우 상이처에 대한 국비진료 국가유공자 등록신청 결과 신체검사… 2020.02.13 1521 0
53 의료 위탁병원 지원대상자의 국비(감면)지원 범위는(급여항목 중 전액 본인부담금 지원 여부) 2020.02.13 1515 0
52 의료 고난도 질환의 진료를 위한 외부병원 전원에 필요한 경우 보훈병원의 승인 절차는 2020.02.13 1502 0
51 의료 의료급여증 발급세대원에 동거하는 장인,장모도 포함되는지 2020.02.13 1495 0
50 의료 보훈병원에서 진료가 어려운 고난도 질환의 진료를 위해 외부병원 전원이 가능한지 2020.02.13 1493 0
49 의료 상이등급 미달 전·공상 제대군인 및 고엽제후유의증 환자에게 질병 또는 상이처 관련 보철구를 지… 2020.02.13 1476 0
48 의료 틀니 또는 임플란트 지원을 받은 후 7년 이내 재치료 시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지 2020.02.13 1475 0
47 의료 위탁병원 입원 치료 시 거동이 불가한 환자(지속적인 치료를 요하는)의 경우에도 퇴원 권유를 받… 2020.02.13 1454 0
46 의료 주민등록상 동거하는 가족의 개인 사업이 의료급여증(1종) 탈락 사유에 포함되는지 2020.02.13 1444 0
45 의료 고엽제후유의증환자가 건강보험에 가입할 경우에 감면혜택이 있는지 2020.02.13 1444 0
44 의료 독립유공자 무료진료증 발급대상자 타시도 전출시 처리방법은 2020.02.13 1443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