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비진료대상자인 국가유공자도 의무적으로 건강보험에 가입해야하는지

국비진료대상자인 국가유공자도 의무적으로 건강보험에 가입해야하는지

보훈안내자료 FAQ(자주하는 질문)

국비진료대상자인 국가유공자도 의무적으로 건강보험에 가입해야하는지

1 4,282 2020.02.13 02:46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국비진료대상자인 국가유공자도 의무적으로 건강보험에 가입해야하는지


ㅁ 답변내용


● 국민건강보험법 제5조의 규정에 따라 국가유공자와 유가족, 독립유공자와 유가족은 건강보험가입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으나,


● 이 경우에 보훈병원만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중증환자진료비 지원, 요양보호서비스 등 각종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으므로 탈퇴 시 신중히 고려하셔야 합니다.


● 따라서 국민건강보험에 선택적으로 가입이 가능한 국가유공자와 유가족 등이 대부분 국민건강보험에 가입을 하고 있으며, 선택가입 및 탈퇴는 주소지 관할 건강보험지사에 방문 또는 유선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 참고로 국가유공자 등 의료보호 대상자가 건강보험 배제 신청하여 건강보험 자격을 상실한 경우 해당 법률에 따라 보훈병원 등에서 국비진료 또는 감면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본인이 부담하는 비용이 증가될 수 있으니 국가보훈처(지방보훈관서) 또는 보훈병원에서 안내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감면진료(60%) 대상자가 보훈병원에서 총 200만원의 진료비가 발생한 경우(입원)


구분


총진료비(급여)


건강보험 부담


국가부담


환자부담


가입자


200만원


160만원


24만원


16만원


미가입자


200만원


-


120만원


80만원


ㅁ 관련규정


● 「국민건강보험법」 제5조


자료제공 : 국가보훈처 


Comments

comgwang 2023.01.18 18:46
전 외국 장기거주자입니다.

병원 간 일도 없는데 병원 갔다고 건보료 청구가 되어 전화로 항의해 바로 잡았고

코로나 직전 해에 1달 넘게 체류 되어
한 달 비용 낸 적 있습니다.

납부 예외 신청을 해야 되는ㅌ군요.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추천
318 의료 보훈병원의 병실이 부족하여 부득이 일반병원에 입원 진료를 받을 경우에 진료비 지원이 가능한지 2020.02.13 1251 0
317 의료 진료비 지원범위에 약값이 포함되는지 2020.02.13 1288 0
316 의료 고엽제후유의증환자의 가족이 보훈병원에서 진료비 감면이 가능한지 2020.02.13 1292 0
315 의료 국비진료대상자 등이 위탁병원 진료 시 입원기간 또는 진료비 한도액 등에 제한이 있는지 2020.02.13 1629 0
314 의료 참전유공자가 감면을 받을 수 있는 일반병원은 어느 병원인지 2020.02.13 1510 0
313 의료 국가유공자 유족 및 가족 등에 대한 의료지원은 무엇인지 2020.02.13 1391 0
312 의료 보훈병원의 병실이 부족하여 부득이 일반병원에 입원 진료를 받을 경우에 진료비 지원이 가능한지 2020.02.13 1154 0
311 의료 진료비 지원범위에 약값이 포함되는지 2020.02.13 1201 0
310 의료 고엽제후유의증환자의 가족이 보훈병원에서 진료비 감면이 가능한지 2020.02.13 1157 0
309 의료 국비진료대상자 등이 위탁병원 진료 시 입원기간 또는 진료비 한도액 등에 제한이 있는지 2020.02.13 1339 0
308 의료 참전유공자가 감면을 받을 수 있는 일반병원은 어느 병원인지 2020.02.13 1177 0
307 의료 국가유공자 유족 및 가족 등에 대한 의료지원은 무엇인지 2020.02.13 1675 0
306 의료 국비진료대상자에게 간병인이 국비로 지원 되는지 2020.02.13 2250 0
305 복지지원 보철구 제도개요와 지급대상 및 지급품목은 어떻게 되는지 2020.02.13 1555 0
304 의료 군 복무 중에 입은 상이처 또는 질병을 제대하기 전에 일반병원에서 국비진료가 가능한지 2020.02.13 1160 0
303 의료 군복무중 입은 상이처 또는 질병을 국비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절차는 2020.02.13 1303 0
302 의료 의료급여증(1종)과 지역의료보험(건강보험)의 발급절차 등 차이가 무엇인지 2020.02.13 3264 0
열람중 의료 국비진료대상자인 국가유공자도 의무적으로 건강보험에 가입해야하는지 댓글+1 2020.02.13 4283 0
300 의료 고난도 질환의 진료를 위한 외부병원 전원에 필요한 경우 보훈병원의 승인 절차는 2020.02.13 1587 0
299 의료 주택소유자는 의료급여증(1종) 발급이 제한 되는지 2020.02.13 1497 0
298 의료 무공수훈자 에 대한 의료지원은 2020.02.13 1324 0
297 의료 국비진료대상자 등이 이용하는 위탁병원 등은 어떠한 절차로 지정하는지 2020.02.13 1165 0
296 의료 고엽제후유의증환자 신청을 하여 등급판정을 받지 못한 경우에 위탁병원 진료시 진료비가 지원 되는… 2020.02.13 1466 0
295 의료 군 복무 중에 입은 상이처 또는 질병을 제대한 이후에 군병원 에서 진료가 가능한지 2020.02.13 1366 0
294 의료 의료급여증(1종)으로 진료를 받을 경우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진료비가 있는지? 2020.02.13 1841 0
293 의료 독립유공자의 자부에 대한 의료지원은 2020.02.13 1742 0
292 의료 5·18민주화유공자 및 그 유가족에 대한 의료지원은 2020.02.13 1136 0
291 의료 위탁병원에서 국가유공자 확인이 안 될 경우 어떤 절차를 거쳐 진료를 받아야 하는 지 2020.02.13 1244 0
290 의료 의료급여증(1종) 발급자는 1차, 2차, 3차 진료기관에서 순차적으로 진료절차를 거쳐야 하는지 2020.02.13 1849 0
289 의료 의료급여증(1종) 탈락 사유에 결혼이 포함되는지 2020.02.13 1207 0
288 의료 고엽제후유의증환자가 의료급여증(1종) 발급대상에 포함 되는지 2020.02.13 1400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