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성 질환의 직권재판정 제도란 무엇이며, 해당질환과 주기는

진행성 질환의 직권재판정 제도란 무엇이며, 해당질환과 주기는

보훈안내자료 FAQ(자주하는 질문)

진행성 질환의 직권재판정 제도란 무엇이며, 해당질환과 주기는

0 2,095 2020.02.13 15:57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진행성 질환의 직권재판정 제도란 무엇이며, 해당질환과 주기는

 

ㅁ 답변내용

 

● 상이가 고착된 상태에서 판정하는 것이 원칙이나, 전역 후 등록신청하는 경우 우선 현 상태에서 인정해드리고 추후 질환이 고착된 이후에 재검하는 것으로 대상자의 권익을 위한 제도입니다.

 

● 직권재판정은 16개 질환으로 주기는 2~3년이며, 1회 실시가 원칙입니다.

 

● 상이가 고정화된 상태에서 판정하는 것이 원칙이나, 일부 질환의 경우 단기간 내에 고정화되지 않아 전역 후 등록 신청하는 경우 우선 현 상태에서 상이등급을 판정하여 지원해 드리고 일정기간이 지난 후 다시 상이등급을 판정함으로써 신체희생에 상응한 합당한 보상을 실시하는 대상자의 권익을 위한 제도입니다.

 

* 직권 재판정신체검사 대상 상이 및 시기(개정 2016.6.21.)

 

※ ‘시기’란의 기간의 기산시점은 상이등급의 판정을 받은 날로 한다.


질병명

시기

질병명

시기

뇌경색, 뇌출혈

3년 이후

평형기능 장애

2년 이후

뇌막염

3년 이후

안면 신경마비

2년 이후

결핵성 척추염

3년 이후

각막 혼탁

2년 이후

교감신경이영양증(복합부위통증증후군)

3년 이후

유리체, 망막질환

2년 이후

만성심부전

3년 이후

무수정체안

2년 이후

정신분열병

3년 이후

재발성 우울병장애

3년 이후

양극성 정동장애

3년 이후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3년 이후

우울병 에피소드

3년 이후

적응장애

3년 이후

 

ㅁ 관련규정

●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6조의3

● 「보훈보상대상자 지원에 관한 법률」 제6조


자료제공 : 국가보훈처


Comment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32 대부 생활안정대부 지원조건(한도액, 상환조건, 담보조건)은 2020.02.13 2089 0
131 대부 주택 우선 공급(분양, 임대)자에게 지원하는 대부지원 조건 (한도액, 상환조건, 담보조건)은? 2020.02.13 1766 0
130 대부 주택구입대부 주택임차대부 지원조건(한도액, 상환조건, 담보조건)은? 2020.02.13 2037 0
129 대부 사업대부 지원조건(한도액, 상환조건, 담보조건)은 2020.02.13 1711 0
128 대부 농토구입대부 지원절차 및 지원조건은 2020.02.13 2767 0
127 대부 기존주택 전세·매입임대주택에 입주하는 대상 및 절차는 2020.02.13 2391 0
126 대부 주택개량대부 지원조건(한도액, 상환조건, 담보조건)은 2020.02.13 1750 0
125 교육 2012.7.1. 이후 등록한 국가유공자 자녀의 교육지원 연령은 2020.02.13 1925 0
열람중 신체검사 진행성 질환의 직권재판정 제도란 무엇이며, 해당질환과 주기는 2020.02.13 2096 0
123 복지지원 수송시설 이용지원 대상자 및 수송시설별 할인 내역은 2020.02.13 2230 0
122 복지지원 보철용차량의 지원대상 및 지원내용은 어떻게 되는지 2020.02.13 3719 0
121 복지지원 보훈복지타운 입주대상, 입주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2020.02.13 3516 0
120 복지지원 보철용 차량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가능 또는 주차불가 대상은 2020.02.13 5885 0
119 복지지원 보훈요양원의 이용지원 대상 및 입소신청 절차는 2020.02.14 6511 0
118 복지지원 노인생활지원용품의 지급대상과 지급기준은 2020.02.14 2078 0
117 복지지원 재해위로금 지급액은 2020.02.14 2560 0
116 복지지원 민간 노인장기요양급여 이용에 따른 본인부담금 지원 대상자, 지원기준, 지원범위 및 절차는 2020.02.14 2968 0
115 복지지원 국가유공자 등의 제증명 발급수수료 감면 혜택 2020.02.14 4306 0
114 복지지원 국가유공상이자 교통복지카드 발급·이용이 지역별로 다른 이유는 2020.02.14 2885 0
113 의료 국비진료대상인 국가유공자의 국비진료 범위는 2020.02.14 2439 0
112 의료 상이를 입은 국가유공자(상이군경, 공상공무원 등)에 대한 의료지원은 2020.02.14 2775 0
111 의료 보훈병원에서 진료가 곤란한 질병에 대한 외래병원 진료 시 전액 국비진료가 가능한지? 2020.02.14 2045 0
110 의료 상이처가 치아가 아닌 국비진료 대상자가 보훈병원 (위탁병원) 치과에서 진료시 혜택은 있는지? 2020.02.14 5848 0
109 의료 전국의 보훈병원 현황 및 의료시설을 확충할 계획은? 2020.02.14 2376 0
108 의료 국비진료대상자인 국가유공자도 의무적으로 건강보험에 가입해야하는지 2020.02.14 4240 0
107 의료 의료급여증(1종)을 발급받고자 신청하였는데 이에 대한 처리결과는 댓글+1 2020.02.14 3674 0
106 의료 국비진료대상자의 위탁병원 진료비 지원범위는 2020.02.14 3052 0
105 보훈선양 독립유공자 포상 심사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2020.02.14 2028 0
104 보훈선양 현충일 및 조총발사의 의미는 무엇인지? 2020.02.14 3544 0
103 보훈선양 청소년들에게 애국심을 함양할 수 있도록 보훈처가 적극 나서야 하는 건 아닌지 2020.02.14 1735 0
102 보훈선양 생존 애국지사 특별예우금 지급대상 및 절차는 2020.02.14 1933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