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되는 통장관리

부자되는 통장관리

할인우대 생활정보

부자되는 통장관리

2 1,157 2007.03.18 13:25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내년부터 3개의 통장으로 재테크를…
부자의 첫번째 관문을 통과하기 위해선 우선 종자돈 1억을 만드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총알이 있어야 뭐라도 할 수 있으니까 말이죠. 그럼 종자돈은 어떻게 만들어 나갈까요? 여기에 대한 답변은 아주 간단하답니다.

‘적게 쓰고 많이 모아라’

특히, 매월 일정한 수입이 들어오는 급여생활자인 경우에는 일정한 금액을 적금으로 모아나가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데요. 이를 위해 3개의 예금통장을 만들어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적극 권하고 싶습니다.

우선 급여가 이체되는 통장이 하나 있어야 겠죠. 물론, 이는 직장인이면 누구나 만들어야 하는 것인데요. 일반적으로 이 통장은 회사에서, 거래하는 은행을 지정해 주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하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우량은행 중에서 자신이 쉽게 찾아 갈 수 있도록 회사근처나 집 근처의 은행을 선정하는 게 좋겠죠. 이 통장에는 매월 일정하게 나가는 각종 공과금을 자동 이체해 두면 편리하죠. 그리고 마이너스 대출서비스도 이 통장에 만들어 놓으면 좋습니다.

그 다음은 목돈을 모으기 위한 적금통장을 만들어 놓을 필요가 있겠죠. 종자돈을 모으겠다고 마음을 먹은 사람이라면 다소 무리가 따르더라도 자신의 급여에서 50%이상은 적금에 넣어야 합니다. 그리고 아직 미혼인 직장 초년생의 경우, 상황에 따라 급여의 70~80% 정도를 적금에 넣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러한 적금통장을 자신의 급여통장에서 자동이체가 되도록 해 놓아야 한다는 거죠. 사실 매월 쓸 돈을 먼저 쓰고 그 다음 적금을 한다는 건 쉽지가 않죠. 따라서 약간은 강제성이 따를 필요가 있는데요. 이렇게 월급이 급여통장에 입금되자마자 다른 공과금 빠져나가듯 적금으로 자동이체를 시켜 놓으면 많은 도움이 되죠.

마지막으로 지갑처럼 사용할 수 있는 생활비 통장을 하나 더 만들면 좋겠습니다. 앞서 급여통장에는 마이너스 대출을 만들어 놓는 게 좋다고 말씀 드렸는데요. 직장인이라면 대개 500~1,000만원 정도 마이너스 대출을 받을 수가 있죠.

급여의 대부분이 적금으로 들어가는 상황에서 당분간은 상당히 근검절약을 하며 생활을 해야 하겠죠. 그런데 사람 일은 알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갑자기 목돈이 필요한 일이 생기게 되면 적금을 깰 수도 없고 남에게 급전을 빌리기도 쉽지가 않죠. 이럴 때 어느 정도 규모 내에서 마이너스 대출을 활용할 필요가 있죠. 하지만 좋은 제도도 남용을 하게 되면 해가 됩니다. 별일도 아닌데, 마이너스 대출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니까요.

그래서 자신이 매월 사용할 돈은 급여통장에서 직접 인출해 쓰지 말고 일단 급여가 들어오면 매월 일정부분을 생활비 통장으로 이체해서 규모 있게 사용하는 걸 권장하고 싶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현금카드를 급여통장에는 만들지 말고 생활비 통장에만 만들라는 것입니다. 급여통장은 귀찮더라도 도장과 통장을 가지고 가야 돈을 찾을 수 있도록 해서 마이너스 대출이나 급여 자체를 쉽게 쓸 수 없도록 해놓는 거죠. 그리고 매월 일정부분의 돈만 생활비 통장에 넣고 이 돈은 현금카드로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말이죠.

결론적으로 급여통장, 적금통장 생활비 통장 이렇게 3개의 예금통장을 만들어 잘 활용하게 되면 효율적으로 종자돈을 모아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이러한 통장 활용법에 대해 “뭐 그리 귀찮은 짓을 하느냐, 대충 돈을 모으면 되지”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단 종자돈을 만들기로 마음먹으신 분이라면 이 방법을 한번쯤 시도해 보시길 권합니다. 좋은 시스템을 마련해 놓아야 좋은 결과도 나오지 않겠습니까?

출처 : 보거스 (재테크 독하게 하는 방법 카페)


Comments

한광웅 2007.03.19 17:45
좋은자료 감사합니다...부자가 되는 제일 첫관문 통장쪼개기..
실천이 잘 안되네요..^^;;
정현 2007.03.19 22:28
저는 부자 되는건 아니고, 그나마 조금이나 좋은 활용을 해볼려고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10 보상을 받는 독립유공자의 유족(가족) 2003.05.22 886 0
109 보상을 받는 국가유공자의 유족(가족) 2003.05.22 1150 0
108 국가유공자 등록신청을 하여 수개월이 지났으나 아직까지 그 결과를 통보받지 못하여 궁금합니다. 2003.05.22 874 0
107 공무원으로 재직시 공무수행중에 부상을 입었는데(질병이 발생하였는데) 국가유공자로 등록될 수 있… 2003.05.22 832 0
106 군복무중에 부상을 입어 현재 군병원에 입원중인데 국가유공자로서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요 2003.05.22 743 0
105 전역후 군복무시(전투경찰대원 복무시) 발병한 질병이 재발하였는데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요 2003.05.22 707 0
104 군복무시(전투경찰대원으로 복무시) 훈련중 부상을 입고 전역하였는데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요 2003.05.22 572 0
103 6.25전쟁당시에 노무자(청년단원등 포함)로서 전투에 참가하여 부상을 입었거나 사망한 경우도 … 2003.05.22 579 0
102 부친이 군인으로서 6.25전투에 참가하여 부상을 입고 전역한 후 생활하다가 몇 년전 사망하였는… 2003.05.22 693 0
101 관할 보훈청에 등록신청을 하여 절차에 따라 국가유공자(또는 독립유공자)로 최종 결정되었는데 보… 2003.05.22 709 0
100 군인(경찰공무원)으로서 복무(재직)중 사망하였는데 유족이 보상을 받는 절차는 2003.05.22 719 0
99 군인(경찰공무원)으로서 복무(재직)중)부상을 입고 전역(퇴직)하였는데 국가유공자가 될 수 있는… 2003.05.22 620 0
98 독립유공자 또는 유족(가족)으로서 보상을 받으려면 어떻게 하여야 하나요 2003.05.22 739 0
97 계모의 의료지원여부 2003.05.22 581 0
96 병원이나 약국 이용시 전산으로 신원확인이 가능한지 2003.05.22 762 0
95 광주민주유공자등에 대한 의료지원(감면율 등) 2003.05.22 520 0
94 광주민주유공자(유족) 등록절차 및 등록순위, 구비서류는? 2003.05.22 532 0
93 광주민주유공자등에 대한 교육지원은... 2003.05.22 539 0
92 국가유공상이자 국민건강보험료 감면혜택 2003.05.22 1490 0
91 보철용차량 지원대상과 지원내용은(유가족은 안돼나요?) 2003.05.22 822 0
90 국가유공자복지카드와 LPG 차량지원에 대해 2003.05.22 1649 0
89 국가유공자 손자녀도 교육비 면제를 받을 수 있는지... 2003.05.22 1100 0
88 고엽제후유의증환자가 사망한 경우 군입대 휴학 또는 일반휴학 후 복학하는 자녀의 대학 수업료등의… 2003.05.22 659 0
87 교육보호(지원) 대상과 교육보호(지원) 실시기관 및 지원내용은... 2003.05.22 707 0
86 국비진료대상자의 보훈병원 진료곤란시 외부병원 전원진료 2003.05.22 718 0
85 국비진료(전 질환)대상자의 응급상황시 일반병원 이용 및 비용청구절차 2003.05.22 676 0
84 응급가료, 보훈병원 외부전원 진료시 국비지원범위 2003.05.22 676 0
83 참전유공자 등록대상은? 2003.05.22 728 0
82 참전유공자 등록절차는? 2003.05.22 583 0
81 참전유공자에 대한 지원내용? 2003.05.22 743 0
80 참전명예수당 지원대상과 내용은? 2003.05.22 705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