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말 기준 전공의 충원율 서울 94% vs 지방 23%
서울 85명 vs 부산 8명, 광주 9명 , 대구 1명 , 대전 0명 ... 대구는 1명마저 인턴
이헌승 의원 “국가유공자 의료 불평등, 국가 책임 회피”
국가유공자들이 지방에 거주한다는 이유만으로 의료서비스에서 심각한 차별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 전공의 인력 부족으로 지방 보훈병원 진료 기능이 사실상 마비 수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가보훈부가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 2024 년 2 월 전공의 파업 직전 전국 보훈병원 전공의는 139 명이었으나 2025 년 9월 말 현재 103명으로 36 명이 줄었다. 올해 하반기 모집 정원 151 명과 비교하면 충원율은 68% 에 그쳤다.
지역별 보훈병원 전공의 충원율 격차는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 중앙보훈병원은 올해 하반기 90명 모집에 85명이 충원돼 94% 충원율을 보였다. 하지만 부산 (36%), 광주 (43%), 대구 (11%), 대전 (0%) 등 지방 보훈병원 평균 충원율은 23% 에 불과했다. 특히 대전보훈병원은 전공의가 단 한 명도 없고 , 대구는 인턴 1 명만 남아 사실상 전공의 공백 상태에 놓였다.
세부 진료과 현황을 보면 불균형은 더욱 뚜렷했다. 중앙보훈병원은 내과·재활의학과·정신건강의학과·정형외과 등 15개 진료과 중 13개 과에 전공의가 배치돼 있는 반면, 광주는 내과·재활의학과·가정의학과 등 3개 과에 불과한 실정이다. 부산은 재활의학과 전공의조차 없어 내과와 가정의학과 2개 과에만 전공의가 배치돼 있다. 대전과 대구는 레지던트가 한 명도 없어 교육병원 기능이 사실상 정지된 상태다 .
이헌승 의원은 “정부가 전공의 확대를 내세우고 있지만 정작 지방 보훈병원에는 의사가 오지 않는다” 며 “국가를 위해 희생한 분들이 지방에 산다는 이유로 제대로 된 치료조차 받지 못하는 것은 명백한 국가적 불평등” 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같은 지역 차별 문제는 단순한 인력 부족이 아니라, 국가유공자의 치료받을 권리와 국가의 보훈 책임이 지역에 따라 차별받는 구조적 문제” 라며 “보훈부는 지방 보훈병원의 의료공백을 즉각 해소할 실질적인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