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 보훈대상자, 수당 포기해야 생계급여 유지?

저소득 보훈대상자, 수당 포기해야 생계급여 유지?

자유게시판

저소득 보훈대상자, 수당 포기해야 생계급여 유지?

민수짱 0 1,602 04.01 16:57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 최영호 경남도의원

저소득 보훈대상자, 수당 포기해야 생계급여 유지?
최원태기자 승인 2025.03.31 17:33

최영호 경남도의원, 보훈수당 소득 산정 방식 개선 건의안 대표 발의

국가와 지자체는 법률과 조례에 따라 보훈대상자 예우 및 복지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보훈·예우 수당 수령으로 저소득 보훈대상자의 생계급여가 감소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제도 개선 요구가 커지고 있다.

경남도의회 최영호(국민의힘, 양산3) 의원은 27일 보훈대상자의 안정적인 생계 보장과 영예로운 삶을 위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개선 촉구 건의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2025년 1월 기준 경남의 보훈대상자는 5만7578명이며, 경남도는 정부가 지급하는 보훈급여금과 별도로 연령 등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약 1만6368명에게 최소 월 5만원에서 최대 월 12만원의 보훈예우수당 또는 참전명예수당을 자체 재원으로 지급하고 있다. 시·군에서도 자체 재원으로 보훈·예우 수당을 지급하는 등 정부와 지자체는 보훈대상자를 위한 각종 지원사업을 적극 발굴 및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지급하는 보훈급여금과 보훈수당 등을 소득으로 간주해 기초생활수급 자격을 심사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일부 저소득 보훈대상자들은 기초생활수급 혜택을 유지하기 위해 보훈수당을 포기하거나, 보훈수당 수령으로 인해 생계급여가 감소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2024년 9월, 김도읍 국회의원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전국에서 기초생활수급 유지를 위해 보훈급여를 포기한 사례가 2020년 18명에서 2023년 806명으로 4년 새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 2023년 10월 강민국 국회의원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전국에서 지자체의 보훈수당을 포기한 사례는 105명, 경남에는 40명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국회에는 보훈급여금 등의 소득 산정 방식 개선을 주요 골자로 하는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개정안’이 5건 발의·계류되어 있는 상황이다.

최영호 의원은 “국가를 위해 헌신한 보훈대상자가 경제적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정부와 국회가 제도 개선에 적극 나서야 한다”며 “보훈급여금과 보훈수당 등이 저소득층 지원제도에서 불이익 요소로 작용하는 것은 반드시 시정해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번 건의안에는 ▲보훈급여금 등의 선택적 포기를 방지하기 위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조속한 개정 추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소득평가 기준에서 지자체가 자체 재원으로 지급하는 보훈·명예수당을 제외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최 의원은 “보훈대상자가 경제적 이유로 기초생활보장 혜택과 보훈수당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불합리한 현실을 개선해야 한다”며 “이번 건의안을 통해 보훈대상자가 영예로운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가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최 의원이 대표 발의한 건의안은 오는 4월 15일부터 열리는 제422회 임시회 기간 중 문화복지위원회 회의에서 심사될 예정이며, 이후 본회의 의결을 거쳐 국가보훈부, 보건복지부,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와 국회 등에 전달될 예정이다. 최원태기자

출처 경남도민신문 : http://www.gn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28906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025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보훈유족 지급액 댓글+20 국사모™ 2024.10.05 41361 0
[공지] 국가유공자 보훈 등록, 상이등급 신체검사 안내 댓글+102 국사모™ 2003.08.01 61850 1
20346 건강보험료 배제 신청 많이 하시는 지요? 댓글+11 단가슴 08.18 807 1
20345 이재명 대통령 경축사에 대한 생각 댓글+3 건강지킴은건강할때 08.18 428 1
20344 국가유공자 고독사 위험 심각…정확한 실태 파악·차별화 정책 시급 민수짱 08.15 296 0
20343 이재명 대통령 대선 보훈공약 지키겠죠? 댓글+7 방갑습니다 08.14 1493 2
20342 국가유공자 우선 주차구역에 무단 주차 늘어...과태료 부과하는 조례 없어 지자체는 ‘난감’ 댓글+2 민수짱 08.13 606 2
20341 잊혀진 참전용사들…“일본서도, 한국서도 소외” 민수짱 08.13 195 0
20340 국가유공자 7급 보훈 급여 현실화 및 즉각적 개선 요구 댓글+3 건강지킴은건강할때 08.12 1298 8
20339 “민생지원금도 15만원인데”…참전유공자 예우 놓고 정무위 시끌, 왜? 민수짱 08.08 831 0
20338 [단독] "국방비 'GDP 5%'…보훈예산·민군R&D 등 합산" 민수짱 08.08 743 0
20337 장애인 버스 지원 안내 댓글+3 영진 08.06 864 0
20336 [JTBC 단독] 김 일병 사망 당시…현장 지휘관은 차에 남아 '게임' 민수짱 08.05 365 0
20335 국가유공자의 치료권 실효성과 병원 선택권 확대를 위한 국민청원서 (작성자 : 윤예자 제안… 댓글+1 젓은낙옆 08.03 645 3
20334 권오을 “민주유공자법 제정 서둘러야…예산 1%는 보훈예산으로” 댓글+2 민수짱 08.01 1065 1
20333 서울 지자체 중 9곳만 참전유공자 배우자에 지원금 민수짱 07.30 378 0
20332 '선임병 가혹행위·익사' 의무복무자, 26년 만에 보훈보상대상자 인정 댓글+3 민수짱 07.30 365 0
20331 보훈대상자에게 가장 절실한 의료급여수급혜택에 대해?(작성자: 권영복 제안일자 : 2025.0… 댓글+5 젓은낙옆 07.29 962 3
20330 7급 수당 현실화 요구 댓글+8 초근화 07.28 1975 6
20329 국가유공자 건강보험료 제도, ‘배제’가 아닌 ‘면제 또는 미부과’로 개정해주세요. 댓글+12 국군대구병원 07.28 1318 5
20328 고엽제 피해자 관련 7월 22일 한겨례21 기사 내용 2세3세 자녀들이 고통받고 있습니다 댓글+1 지우지우 07.24 390 0
20327 대통령의 국민소통 광장에 접수한 고엽제법 개정 제안 답변서(본 게시판 20314 번 글 관련… 중환 07.17 606 0
20326 "한마디로 죽이 됐다"…제주 호국원 묫자리 파보니 '진흙탕' 민수짱 07.15 557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