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도 고립된 병사들…가족 간호 막는 軍

아파도 고립된 병사들…가족 간호 막는 軍

자유게시판

아파도 고립된 병사들…가족 간호 막는 軍

김동엽 0 1,041 2012.01.17 15:16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기사입력2012-01-17 07:01기사수정 2012-01-17 10:12

작년 뇌수막염 사망사고를 비롯한 군대 내 사망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으나 국방부는 병사들이 외부 도움도 받지 못하게 하는 등 폐쇄적 태도로 일관해 문제를 키운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7일 국당국과 유족 등에 따르면 작년 7월 30일 사망한 육군 35사단 소속 김모(당시 21세) 상병이 국군대전병원에 입원했을 때 어머니가 직접 병간호를 하려 했으나 군은 규정을 내세워 밤에는 병원에서 머물지 못하도록 했다.

군병원측은 가족뿐 아니라 전문 간병인 역시 민간인 신분이라 야간에 병간호할 수 없다고 통보했다.

이에 따라 김 상병의 어머니는 아침부터 저녁 시간까지만 김 상병을 보살폈으며 밤에는 병원 밖에서 마음을 졸일 수밖에 없었다.

유족은 군병원이 간호능력도 부족한 상태에서 무작정 보호자 출입을 막으면서 김 상병의 병세가 더욱 악화됐다고 주장했다.

김 상병의 어머니는 “밤새 밖에서 기다리다 아침 일찍 병실에 가보면 아들이 옷과 침대 시트가 흠뻑 젖은 채로 누워 있었다”며 “보호자가 아들 간호도 못 하게 막는 규정은 대체 누구를 위한 것이냐”고 지적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국군대전병원에서는 군의관의 판단에 따라 일반 환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중환자의 경우 24시간 간병이 가능하다”며 “당시 어떤 이유로 간병이 제한됐는지 현재로서는 정확히 파악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군당국은 또 김 상병이 처음 고열을 호소할 때 인근 대학병원에서 뚜렷한 병명을 파악하지 못했지만 역시 규정이라는 이유로 국군대전병원으로 후송했다.

결국 김 상병은 국군대전병원에서 나흘을 허비한 뒤에야 다른 대학병원으로 후송됐으며 그곳에서 급성 백혈병 진단을 받았지만 치료하기엔 때가 늦어버렸다.

육군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육군 병사가 병을 앓아 후송될 경우 군대 내 병원에서 우선 진료를 받아야 하는 절차를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작년 2월에는 중이염 증세가 있던 훈련병이 수차례 외진을 호소했으나 군이 이를 묵살했고 결국 해당 병사가 자살하는 사고까지 있었다.

당시 육군훈련소 지구병원 군의관은 외진을 보내달라며 애원하는 훈련병을 기간병을 불러 쫓아냈고 소대장마저 꾀병환자로 낙인찍자 훈련병이 이를 견디지 못하고 목을 매 숨진 것이다.

문제는 이 같은 상황이 단순히 일부 군의관이나 지휘관의 잘못된 판단에 따른 것이 아니라 군 전체 조직의 문제일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육군복무규율 제25조에서는 ‘군인은 복무와 관련된 고충사항을 진정ㆍ집단서명 기타 법령이 정하지 아니한 방법을 통하여 군 외부에 그 해결을 요청하여서는 아니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 규정은 1998년 신설된 이후 수차례 문제점이 지적됐지만 여전히 삭제되지 않고 있다.

시민단체 군인권센터 임태훈 소장은 “환자를 치료할 만한 역량도 없으면서 외부의 도움조차 받지 않겠다는 것은 병사가 어떻게 되든 상관없다는 태도”라며 “지휘관들은 자기 자식이 군대에서 아프다고 해도 이렇게 할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765 국가유공자, 나라사랑대출 담보부담 완화…보증보험제 도입 최민수 2018.07.11 2178 0
764 소송에서 승소하였습니다. 댓글+11 김진호 2019.05.24 2178 0
763 양천구 보훈예우수당 나이제한 폐지 댓글+3 jechul001 2023.01.03 2178 1
762 국가유공자[등록관련등] 관련소송자료를 보내 주세요. 댓글+11 국사모 2003.11.20 2182 0
761 이명..기준이어떻케되는지요?? 댓글+6 지승근 2008.02.09 2182 0
760 보훈급여금개선과 보훈보상대상자 수송지원관련 의견 댓글+2 신법을개정하자 2020.12.31 2183 0
759 모두 단결하여 국가유공자 가족수당 문제 를 해결합시다. 댓글+10 이재민 2018.09.08 2187 0
758 '1인 최대 500만원' 내일배움카드 전국민 확대 민수짱 2021.07.10 2188 0
757 보훈대상자인데요. 직권에의한 재신체검사시 댓글+1 항상감사 2020.11.16 2190 0
756 상이등급 판정 결과. 댓글+4 최고사무기 2022.09.28 2193 0
755 2023년 장애인 공무원 인사관리 매뉴얼 입니다. 댓글+7 용된미꾸라지 2023.05.05 2195 0
754 국가유공자 예우 이래도 되나…보훈체계 통합 관리 시급 민수짱 2020.06.25 2197 0
753 안녕하세요 댓글+6 우우우아아아아앙 2020.08.20 2198 0
752 국가보훈 대상자, '나만의 예우' 개인 맞춤형 지원 받는다 민수짱 2020.06.17 2199 0
751 저는 국가보훈 등외등급 받은 것을 취소 처분 하였습니다. 댓글+4 드르리 2022.11.10 2199 2
750 5년간 보훈급여 부정수급 44억원…환수액은 절반 '혈세 줄줄' 민수짱 2021.09.24 2202 0
749 보훈대상자 지원대상의 주요현안 추진상항들 잘되어가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댓글+3 2번꼬마 2022.03.18 2202 0
748 취업가점에 대해 김태두 2001.04.19 2205 0
747 2012년 7월 이전 이후 유공자 등록에 대하여 아시는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7 오늘도맑음 2021.12.16 2208 0
746 개인적인 창피한 예기 좀 하겠습니다... 댓글+4 김상섭 2012.03.21 2210 0
745 안성시, 보훈단체 명예수당 인상 촉구에 '전전긍긍' 댓글+2 민수짱 2023.04.25 2212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