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 통신비 1조 이상 줄일 수 있는데...통신사 할인제도 '구멍'

年 통신비 1조 이상 줄일 수 있는데...통신사 할인제도 '구멍'

자유게시판

年 통신비 1조 이상 줄일 수 있는데...통신사 할인제도 '구멍'

민수짱 0 1,551 2024.10.04 22:40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年 통신비 1조 이상 줄일 수 있는데...통신사 할인제도 '구멍'
 
입력 2024.10.04 12:44 수정 2024.10.04 14:06
민단비 기자 (sweetrain@dailian.co.kr)

선택약정 미신청자 1230만명...1년 이상 무약정은 673만명
‘약정 가입시 자동연장 여부 선택할 수 있어야’ 누리꾼 목소리
올 상반기 취약계층 22% 통신비 감면 못 받아...1740억 추산

이동통신 서비스 고객이 선택약정할인이나 취약계층 요금감면 등 제도를 통해 절약할 수 있었던 연간 통신비가 1조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단통법(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폐지, 중저가 단말기 확대 등도 중요하나 기존 제도의 구멍을 메우는 실효성 있는 통신비 인하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통신 업계에 따르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노종면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말 기준 선택약정 대상이 됐음에도 이를 신청하지 않은 고객 수는 1229만7811명이었다. 이들이 할인받을 수 있었던 금액은 1조3837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선택약정은 1년 혹은 2년 약정 가입 시 매월 요금의 25%를 깎아주는 통신사들의 할인 제도다.

약정기간 종료 후 무약정 기간이 1년이 넘는 사람은 673만1103명으로, 이는 전체 선택약정 미가입자의 54.7%에 해당한다. 단말기 변경 등 이유로 무약정 상태를 유지하는 가입자도 존재하지만 1년 이상 무약정 상태를 유지한 건 약정 기간에 상관없이 할인받을 수 있었음에도 할인받지 못한 것이라고 노 의원은 지적했다. 그는 “이는 과기정통부의 안내와 홍보 부족 탓임에도 과기정통부는 행동에 나서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노 의원에 따르면 앞서 2016년 감사원 감사와 2020년 과방위 국정감사에서도 선택약정 안내 부족을 문제 삼은 적이 있다. 2020년 과방위 국정감사에서 선택약정 미가입자의 총 연간 예상 할인액은 1조3372억원이었다. 국감 이후 과기정통부와 통신 3사는 선택약정 만료 전후 대상자에 보내는 안내 문자를 2회에서 4회로 늘리고 해당 문자를 스팸 문자로 오인하지 않도록 통신사 통신사 안심·인증마크를 붙여 발송하는 등 안내를 강화했다. 65세 이상 고령층에게는 ARS를 통해 알리고 있다. 그러나 무약정자의 연간 예상 할인액이 4년 전과 비슷한 수준으로 홍보에 별다른 효과가 없었다는 지적이다.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약정 기간이 끝나면 월 단위로 자동 가입할 수 있게 약관을 바꿔라’, ‘미처 못 받은 할인은 소급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선택약정 기간을 정하지 말고 고객이 해지 요청할 때지 계속 유지하는 규정을 만들어달라’ 등 요구가 나오고 있다.

선택약정뿐만이 아니다. 통신사로부터 통신비를 감면받을 수 있는 중증 장애인·기초생활수급자 등 취약계층은 22%가 올해 상반기 통신비 감면 혜택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과방위 소속 황정아 의원은 과기정통부로부터 제출 받은 ‘취약계층 통신비 감면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통신비 감면 대상 996만7372명 가운데 216만757명이 감면 혜택을 받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이들이 놓친 통신비 감면액은 모두 1740억원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황 의원에 따르면 통신비를 감면받지 못한 취약계층의 수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통신비 감면을 못 받은 취약계층은 2021년 203만4194명에서 2022년 205만6865명으로 늘어났고, 지난해 206만1618명으로 3년 연속 증가했다.

현행 전기통신사업법은 통신3사를 비롯한 모든 전기통신사업자에 국민의 통신 기본권 보장을 위해 수익성과 관계없이 서비스를 의무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보편적 역무’ 제공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통신사들은 기초생활수급자, 기초연금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을 통신비 감면 대상에 포함하고 있다.

황정아 의원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통신비 감면 제도를 안내하고는 있지만 중증 장애인, 65살 이상의 노인들이 대리점·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통신사 고객센터 및 누리집에 문의해 감면을 신청하기가 쉽지 않다”며 “통신비 감면 혜택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매년 늘어나고 있는 만큼 정부와 전기통신사업자가 사각지대 해소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출처 데일리안 : https://www.dailian.co.kr/news/view/1413496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024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상이군경 참전유공자 유족 국사모™ 2023.12.21 21699 2
[공지] 국가유공자 보훈 등록, 상이등급 신체검사 안내 댓글+102 국사모™ 2003.08.01 59426 1
20212 권익위 "고엽제후유증, 사망 당시 기록만으로 판정 말아야" 민수짱 03.20 110 0
20211 2024년 수시(기회균등) 컷트라인/경쟁률 현황 문의 댓글+6 가르시아백작님 03.17 551 0
20210 시국선언? 댓글+1 감귤러 03.13 496 1
20209 [단독]적자 못 버틴 인천보훈병원, 응급실 운영 잠정 중단 댓글+2 민수짱 03.13 510 1
20208 혹한기 행군 중 넘어져 수술·장애 진단…법원 “국가유공자 인정” 댓글+1 민수짱 03.13 299 0
20207 '백범 김구 증손' 김용만 의원 "김구 국적 중국" 발언 김문수 고소 댓글+1 민수짱 03.09 396 1
20206 더불어민주당 김한규 의원, 보훈대상자 의료지원 확대 위한 7개 법률안 발의 댓글+3 민수짱 03.09 801 0
20205 3월 8일 국가유공자 노터치 무료세차 정보 모두홧팅 03.08 716 0
20204 갤럭시 삼성페이로 복지카드 등록시 버스 무임 가능한가요?? 댓글+3 stars 02.27 1131 0
20203 Re: 갤럭시 삼성페이로 복지카드 등록시 버스 무임 가능한가요?? 댓글+2 바비 02.27 1041 0
20202 [2017년 참여연대 기고] 국가유공자 처우는 개선되어야 한다 댓글+2 민수짱 02.23 1318 1
20201 30대 국가유공자 극단선택…"킹크랩 사와라" 괴롭힌 장수농협 4명 기소 댓글+4 민수짱 02.18 1453 0
20200 재해부상군경 7급 장애인주차장 주차 관련 질문입니다. 댓글+3 coreadj 02.16 1358 0
20199 소화기내과 당일진료 초진 가능할까요? 댓글+1 irus1113 02.10 545 0
20198 르노 삼성 그랑 콜레오스 하이브차량구입하려는데 활인받으려면? 댓글+4 순고구마 02.04 1611 0
20197 차량세금면제 국가유공자 1대 장애인 1대 musd 01.30 1628 0
20196 부산시 보훈수당 인상 댓글+4 어사 01.24 2030 0
20195 중앙보훈병원 제증명 발급비용 안내입니다 댓글+3 미소남 01.22 1336 0
20194 보훈예우수당 (서울시) 나이제한 철폐 댓글+10 한스리 01.21 2133 3
20193 성남시 보훈명예수당 관련 신상진 시장 글이 있어 올립니다. 댓글+5 서원배 01.20 1669 0
20192 대학 등록금 고지서 관련 댓글+8 방타이 01.14 1463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