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한기 행군 중 넘어져 수술·장애 진단…법원 “국가유공자 인정”
혹한기 행군 중 넘어져 수술·장애 진단…법원 “국가유공자 인정”
0
국사모안내
국사모 소개
국사모 대표 인사말
국사모 조직도
국사모 상담안내
국사모 사업단 소개
국사모 사업단 소식
국사모 이용약관
국사모 이용안내
국사모 후원
보훈클럽
보훈클럽 소개
보훈클럽 방송
보훈클럽 사설
보훈클럽 예우위상
보훈클럽 정책법률
보훈클럽 의료
보훈클럽 인물단체
보훈클럽 행정기관
보훈클럽 관련뉴스
보훈클럽 칼럼기고
보훈클럽 인터뷰
보훈인권센터
보훈인권센터 소개
소장 인사말
인권센터 공지사항
보훈인권센터 상담
홍보마당
회원홍보
참여정책마당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보훈관련뉴스
토론방
해우소
정보 공개 청구
법률 정책 성명서
보훈입법 국회 동향
상담마당
주요 상담사례
보훈등록
일반보훈업무
신체검사
행정심판
행정소송
소송판례
상이처
고엽제
취업
보훈급여금
대부
교육
의료
복지지원
제대군인
기타
보훈관련 상담
등록요건
일반보훈업무
보훈등록신체검사후기
행정심판 소송
소송
신체검사
눈귀코입
팔손다리발관절
희귀난치
고엽제
신경정신질환
내과질환암
흉터화상
흉추요추경추
기타
물어보세요
법률상담 게시판
보훈정보
국가보훈 가이드지도
보훈안내자료
보훈급여금
보훈위탁병원
지자체 보훈수당
국립묘지
호국보훈시설
지역 홍보마당
기타
보훈 취업 정보방
일반채용공채
보훈추천전형장애전형
취업길라잡이
지역별 보훈정보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남
충북
대전
전북
전남
광주
경북
경남
대구
울산
부산
제주
세종
기타
보훈안내자료 FAQ
국사모구축
등록
신체검사
보훈급여금
취업
대부
교육
복지지원
의료
보훈선양
기타
제대군인
보훈안내자료
할인우대 생활정보
노병의 독백
보훈관련 자료실
일반
연구보고서
보훈예산
현황통계
법령정보
외국의보훈제도
보훈민원사무서식
기타
법률입법 행정예규
보훈처등 주요소식
정회원마당
정회원 공지사항
정회원 사업홍보
정회원 자유게시판
정회원 자료실
정회원 전문상담방
정회원 지역커뮤니티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남
충북
대전
전북
전남
광주
경북
경남
대구
울산
부산
제주
기타
국사모안내
국사모 소개
국사모 대표 인사말
국사모 조직도
국사모 상담안내
국사모 사업단 소개
국사모 사업단 소식
국사모 이용약관
국사모 이용안내
국사모 후원
보훈클럽
보훈클럽 소개
보훈클럽 방송
보훈클럽 사설
보훈클럽 예우위상
보훈클럽 정책법률
보훈클럽 의료
보훈클럽 인물단체
보훈클럽 행정기관
보훈클럽 관련뉴스
보훈클럽 칼럼기고
보훈클럽 인터뷰
보훈인권센터
보훈인권센터 소개
소장 인사말
인권센터 공지사항
보훈인권센터 상담
홍보마당
회원홍보
참여정책마당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보훈관련뉴스
토론방
해우소
정보 공개 청구
법률 정책 성명서
보훈입법 국회 동향
상담마당
주요 상담사례
보훈관련 상담
물어보세요
법률상담 게시판
보훈정보
국가보훈 가이드지도
보훈 취업 정보방
지역별 보훈정보
보훈안내자료 FAQ
할인우대 생활정보
노병의 독백
보훈관련 자료실
법률입법 행정예규
보훈처등 주요소식
정회원마당
정회원 공지사항
정회원 사업홍보
정회원 자유게시판
정회원 자료실
정회원 전문상담방
정회원 지역커뮤니티
SHOP
메인
국사모안내
보훈클럽
보훈인권센터
홍보마당
참여정책마당
상담마당
보훈정보
정회원마당
0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보훈관련뉴스
토론방
해우소
정보 공개 청구
법률 정책 성명서
보훈입법 국회 동향
자유게시판
홈 > 참여정책마당 > 자유게시판
혹한기 행군 중 넘어져 수술·장애 진단…법원 “국가유공자 인정”
민수짱
2
3,450
03.13 13:59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혹한기 행군 중 넘어져 수술·장애 진단…법원 “국가유공자 인정”
입력 2025.03.13 09:30
업데이트 2025.03.13 09:31
정시내 기자
혹한기 훈련을 받던 중 넘어져 수술을 받고 전역한 군인이 법원으로부터 국가유공자로 인정받았다.
2004년 육군에 입대해 군악대에서 부사관으로 15년 넘게 근무한 40대 A씨는 4년 전 겨울 혹한기 훈련을 하다가 갑자기 사고를 당했다.
전술 행군을 하던 중 대연병장에서 뒤로 넘어진 그는 머리를 땅에 부딪쳤고, 목과 팔에 심한 통증을 느꼈다.
군단 의무대를 거쳐 민간병원으로 이송된 A씨는 목 디스크가 파열돼 수술해야 한다는 진단을 받았다.
이틀이 지나서까지 통증이 심해 밤에 잠을 제대로 못 잘 정도였고, 결국 국군수도병원 응급실에 다시 실려 가 ‘신경뿌리 장애’ 진단을 추가로 받고 입원했다.
퇴원 후 약물치료를 계속했는데도 A씨의 증상은 나아지지 않았고, 급기야 손이 떨리고 마비 증상도 보였다.
결국 A씨는 사고 후 1년이 지난 2022년 1월 목 디스크 수술을 받았고, 3개월 뒤에는 육군 보통 전·공상 심사위원회에서 ‘공상’ 판정을 받았다. A씨의 질환이 군 복무와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다는 판단이었다.
같은 해 7월 전역한 그는 3개월 뒤 ‘공무상 부상’을 이유로 상이등급 ‘6급’을 인정받았으나 이듬해 국가유공자 심사에서는 탈락했다.
A씨가 국가 수호나 안전보장 등과 직접 관련이 있는 교육훈련을 하다가 다쳤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였다.
그는 2023년 4월 이 결정을 취소해 달라며 인천보훈지청장을 상대로 행정소송을 냈다.
A씨는 소송에서 “국가 수호와 직접 관련이 있는 교육훈련인 혹한기 훈련을 하다가 사고로 다쳤다”며 “‘공상’으로 인정받고 국방부도 공무상 부상을 인정해 상이연금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군 복무와 부상은 인과관계가 있다”며 “다른 전제로 내려진 (인천보훈지청의) 처분은 위법하다”고 덧붙였다.
법원도 A씨가 부사관으로 복무하던 중 입은 부상이 국가 수호나 안전 보장과 직접 관련이 있는 교육훈련으로 인해 발생했다며 국가유공자로 인정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인천지법 행정2단독 최영각 판사는 A씨가 인천보훈지청장을 상대로 낸 국가유공자 요건 비해당 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했다고 13일 밝혔다.
최 판사는 “겨울철 전투 수행 절차를 익히기 위한 혹한기 훈련은 국가 수호나 안전보장과 직접 관련이 있는 교육훈련”이라며 “A씨는 사고 이전에 특별한 증상을 겪거나 치료받지도 않았다”고 했다.
이어 “진료기록을 살펴본 감정의도 A씨가 군에서 입은 부상이 당시 사고로 발생했다고 봤고, 그 기여도를 60%로 판단했다”며 “기여도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위법도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최 판사는 “감정의는 ‘당시 (뒤로 넘어진) 사고가 없었다면 A씨가 그런 진단을 받지 않았을 것’이라고 판단하기도 했다”며 “A씨는 국가유공자법이 정한 ‘공상군경’에 해당하기 때문에 국가유공자 요건 비해당 결정은 위법해 취소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정시내 기자 jung.
sinae@joongang.co.kr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0312
0
프린트
Comments
차돌박
03.16 00:34
군복무 자체가 국가수호나 안전보장 아닌가요?
군복무 자체가 국가수호나 안전보장 아닌가요?
nikonman
03.29 12:36
군인은 총들고 경계근무를 하고있어도 나라를 지키는 것인데,인천보훈청은 뭔소리를 하고있는건지...ㅉㅉㅉ 한심하네요....
군인은 총들고 경계근무를 하고있어도 나라를 지키는 것인데,인천보훈청은 뭔소리를 하고있는건지...ㅉㅉㅉ 한심하네요....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025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보훈유족 지급액
댓글
+
21
개
국사모™
2024.10.05
44910
0
[공지] 국가유공자 보훈 등록, 상이등급 신체검사 안내
댓글
+
102
개
국사모™
2003.08.01
63724
1
20415
국립묘지 못 간 소방영웅 31명… "유족 연락 기다립니다"
민수짱
11.27
128
0
20414
위스키 개발에 29억, 독거 유공자 안부에 5억…AI 갖다붙여 예산 따먹기
댓글
+
2
개
민수짱
11.27
299
0
20413
[사설] ‘준보훈병원’ 설치, 늦었지만 가장 현실적인 대안
댓글
+
1
개
민수짱
11.26
478
0
20412
국가유공자 출입 거부한 '해병대 문화축제'
댓글
+
3
개
민수짱
11.18
801
0
20411
구)7급 유공자 고민끝이 내린결정!!!!!
댓글
+
7
개
떴다양박사
11.17
1953
1
20410
충북도, 의료비 후불제 융자 한도 내달부터 500만 원으로
민수짱
11.12
491
0
20409
[단독] 이름만 ‘부(部)’인 국가보훈부? 11년간 신규 사업 ‘단 1개’
민수짱
11.12
653
0
20408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손자녀까지 포함한 교육 지원, 조례는 시행됐지만 행정은 ‘제자리…
민수짱
11.12
511
0
20407
캠코, 보후대상자 포함 20년 이상 장기 연체채권 소각 추진
민수짱
11.10
769
1
20406
"남편은 소방관인데…" 순직 후 서류에 적힌 낯선 단어
민수짱
11.09
581
0
20405
국가보훈위원회 민간위원, 국민이 직접 추천한다
댓글
+
16
개
민수짱
11.09
940
2
20404
용인특례시 2026년 보훈명예수당 연령제한 폐지 관련
댓글
+
6
개
국군대구병원
11.07
1174
0
20403
용인시, 2026년 내년부터 국가유공자 보훈명예수당 연령 제한 폐지
댓글
+
1
개
민수짱
11.07
929
1
20402
의왕시-시의회 ‘보훈수당 인상안’ 또 줄다리기 예고
댓글
+
1
개
민수짱
11.03
1097
0
20401
[단독] 국가 전산망 의존 '보훈특별고용' 한계 드러나
민수짱
10.31
672
0
20400
복지카드 신용카드 혜택 변화 필요
댓글
+
3
개
바자라
10.28
1881
1
20399
"보훈대상자 의무고용" 독촉 6,562건…정작 보훈부 산하기관은 6년째 미달
댓글
+
4
개
민수짱
10.24
1812
2
20398
[단독] 2,489일째 지원자 0명…전문의 소멸한 보훈병원
민수짱
10.24
763
2
20397
국사모회원님들께, 안타까운 소식을 전합니다.!!
댓글
+
5
개
천부도인
10.24
1839
1
20396
“16만 홀몸 초고령 보훈대상자, ‘영양 부족’으로 고독사 위험”…급식지원 의무 국가유공자법 …
민수짱
10.23
559
1
20395
이정문 의원, ‘보훈의료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안 대표발의… 보훈의료 체계 하나로 통합
민수짱
10.23
603
0
1
2
3
4
5
6
7
8
9
10
Search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검색어
필수
Login
자동로그인
회원가입
|
정보찾기
Category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보훈관련뉴스
토론방
해우소
정보 공개 청구
법률 정책 성명서
보훈입법 국회 동향
Service
주문/배송
개인결제
FAQ
1:1 문의
장바구니
투데이뷰
상품찾기
위시리스트
+
Posts
국립묘지 못 간 소방영웅 31명… "유족 연락 기다립니다"
+1
[국회] 정무위 의결, 준보훈병원 도입 및 보훈단체 회원범위 확대 등
+2
위스키 개발에 29억, 독거 유공자 안부에 5억…AI 갖다붙여 예산 따먹기
+1
[사설] ‘준보훈병원’ 설치, 늦었지만 가장 현실적인 대안
+2
[법률발의안] 국가보훈기본법, 지자체 보훈수당 가이드라인 마련에 협조 노력해야
[서울시] 박영한 의원, 참전 보훈명예수당 지급대상에서 연령제한 폐지
+4
[공지] 보훈부, 국가유공자 할인 ‘모두의 보훈마켓’ 시행(세븐일레븐 1호)
+3
국가유공자 출입 거부한 '해병대 문화축제'
+7
구)7급 유공자 고민끝이 내린결정!!!!!
+2
[유튜브] 미국 재향군인의 날, 미국 참전용사를 맞이하는 오바마 "희생에 감사"
+
Comments
제대군입법 개정 근무기간 인정 3년은 어디에서 나온 근거인가요, 편의적으로 3년정도 하면 될거라는 무근거 개…
한창민 의원의 질의를 보면 진짜 아니라고 보입니다. https://ymveteran.com/bbs/board…
어지간하면 반박글을 안쓰고 싶지만 이건 정말 민주당 너무하네요. AI기반으로 시도해보는것도 좋지만 아무리 그…
좋은 내용입니다. 이 보다 먼저 위탁병원에서 몇 년간 진료를 잘 받고 있는데, 어느날 갑자기 위탁병원이 변경…
전 재해부상군경 7급...인데 그냥 만족할렵니다...재검해서 떨어질거 같기도 하고......... 아예 못을…
안타까운 마음 동감합니다. 저도 상이처 악화로 24년도에 우연히 군인상이연금제도를 알게 되어 신청하였으나 소…
부당합니다. 재직중 소방 공상공무원이며 퇴직후 당연히 상이 군경소방으로 변경 되어야 합니다.
간만에 국사모에 들어와서 늦게 글을 봅니다. 동감합니다. 일전에 카드에 새겨진 '복지카드'라는 문구에 대해서…
부산광역시는 국물도 없습니다.
지난 6,7월경 정부 국민사서함 플랫폼에 7급의 이런 부당한 사유에 대해서 건의했었습니다. 우리가 직장에서 …
+
Phone
0505-379-8669
010-2554-8669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