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공자 참전명예수당 현실화로 진정한 보훈 실현해야

국가유공자 참전명예수당 현실화로 진정한 보훈 실현해야

자유게시판

국가유공자 참전명예수당 현실화로 진정한 보훈 실현해야

민수짱 4 1,577 06.04 17:13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강원포럼] 국가유공자 참전명예수당 현실화로 진정한 보훈 실현해야

입력 : 2025-06-04 00:00:00 지면 : 2025-06-04(19면)
지광천 강원자치도의원

강원특별자치도는 6.25 전쟁의 주요 격전지이자 분단의 아픔을 직접 경험한 지역으로, 다른 어느 지역보다 국가유공자에 대한 예우와 지원이 중요한 곳이다. 특히 참전유공자들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현 시점에서, 참전명예수당의 현실적인 인상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의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도내 거주 참전유공자는 약 3,200명으로 이 중 90세 이상 초고령자가 88%이다. 이는 강원특별자치도의 참전유공자들이 겪고 있는 고령화의 심각성을 잘 보여준다. 또한 이들 중 상당수가 농어촌 및 산간지역에 거주하고 있어 의료 접근성이 낮고 생활비 부담에 큰 특수한 환경에 처해 있다.현재 강원특별자치도에서 지급하는 참전명예수당은 국가에서 지급하는 기본 수당 월 45만원에 도비 지원 6만원을 더해 월 51만원 수준이다.

2021년 국가보훈대상자 생활실태조사에 따르면 보훈대상자 지원정책에 만족하지 않는 비율이 42.7%로 만족하는 비율에 비해 2배 이상 높은데, 주된 이유로는 지원 범위와 수준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보훈정책에서 개선되어야 할 분야 1순위로는 보훈급여금(63.8%)이 꼽혔다.이러한 현실을 감안할 때 강원특별자치도의 참전명예수당 인상은 필수적이며,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강원특별자치도 참전명예수당을 단계적으로 인상해야 한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5년 기준 1인 가구 최저생계비는 약 월 143만원이다. 참전유공자들이 받는 현재의 수당은 이에 한참 미치지 못한다. OECD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미국은 월 약 140만원(1,200 USD), 캐나다는 월 약 100만원(1,100 CAD) 등으로 국제적으로도 낮은 수준의 참전수당을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강원도 내 18개 시·군별 참전명예수당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 현재 강원도 내 시·군별 참전유공자 추가 지원금은 편차가 크다. 이는 같은 도내에서도 거주 지역에 따라 참전유공자들이 받는 혜택이 달라지는 불합리한 상황을 초래한다. 도 차원에서 최소 지원 기준을 설정하고, 재정 여건이 열악한 시·군에는 도비 매칭 비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격차를 줄여야 한다.

셋째, 참전유공자를 위한 통합 복지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참전유공자들은 의료 서비스, 교통 지원, 주거 환경 개선 등에 대한 지원을 희망하고 있다. 특히 강원도의 열악한 교통 환경을 고려할 때, 참전유공자 전용 교통 서비스와 찾아가는 의료 서비스 확대를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강원도 참전유공자를 위한 명예와 존중의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강원도는 6.25 전쟁의 주요 격전지로서 역사적 의미가 큰 지역이다. 2021년 국가보훈처의 보훈 인식 조사에 따르면 사회 전반의 보훈 의식이 낮다는 의견이 32.2%에 달한다. 즉 보훈 역사에 대해 충분히 알지 못하는 것이다. 강원도의 역사적 배경을 활용하여 참전유공자들의 증언과 경험을 기록하는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

참전명예수당의 현실적 인상은 단순한 복지 차원을 넘어 강원특별자치도가 지닌 역사적 의미와 정체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과제이다. 특히 참전유공자들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현 시점에서, 그들이 존엄하고 안정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우리 세대의 책임이다.

강원특별자치도는 분단과 전쟁의 아픔을 직접 경험한 지역으로서, 국가유공자에 대한 예우와 지원에 선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강원특별자치도 참전명예수당 인상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함으로써, 진정한 보훈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출처 강원일보 : https://www.kwnews.co.kr/page/view/2025051909181613450


Comments

타스 06.06 13:13
올해는 예산 확보가 안되어 어렵겠지만 내년 기대해 봅니다
개토 06.07 14:57
강원도 참전유공자만 더 띄우는 글 갔네요~ 격전이여도 참전하신 유공자 분들은 동일한 대우를 받아야 합니다. 강원도 전쟁 참전했다고 우대받아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강원도 어이없네~ 이번 대선도 다 빨간색만 찍어놓고 우대해달라고 하는건가?
저는 참전유공자도 아니고 해당사항도 없는 제 3자 입장에서 이런 말도 안되는 지역차별주의 부터 없애야 된다고 봅니다.
정후 06.11 15:15
여기에서 빨간색이 왜 나오고, 지역 차별주의는 왜 나오는 건가요?
강원도 의원 이름으로 강원일보에 실린 기사인데.
누구라도 국가유공자를 위해 힘쓰면 좋은거죠.
국회의원도 아닌 강원도 의원이 모든 국가유공자를 위한 행보를  하기는 어렵지 않을까요?
어느 한 곳이라도 처우가 좋아지면, 다른 도도 따라갈 근거가 생기는 거고요.
개토 06.12 19:39
정후님 말씀도 틀린거 없는데요... 글쎄요~ 부정적으로 보는건 아니지만 보훈수당만 봐도 천차만별로 그 수당 격차가 지역별로 차이가 큰지 오래입니다. 다른 지자체가 그걸 따라 보고 배웠으면 참전명예수당, 보훈수당이 지금처럼 차이가 났을까 싶네요~ 그리고 강원일보면 강원도 내용만 적어야 될까요? 강원도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상향 평준화가 되었으면 한다는 기사 한 줄 기재되어 나왔다면 저 또한 위에 글 안썼을 겁니다. 다 자기우선, 자기지역우선 입니다. 물론 이번 정권에서는 그 개선의지가 보이니 다행입니다만 과거 바로 윤정권까지 다 알면서도 개선은 없었던 것 또한 사실입니다. 지금부터라도 바로 잡혀서 참전유공자분들부터 전국적으로 상향 평준화 되길 기대하고 희망해 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025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보훈유족 지급액 댓글+20 국사모™ 2024.10.05 41230 0
[공지] 국가유공자 보훈 등록, 상이등급 신체검사 안내 댓글+102 국사모™ 2003.08.01 61760 1
20344 국가유공자 고독사 위험 심각…정확한 실태 파악·차별화 정책 시급 민수짱 08.15 199 0
20343 이재명 대통령 대선 보훈공약 지키겠죠? 댓글+5 방갑습니다 08.14 994 1
20342 국가유공자 우선 주차구역에 무단 주차 늘어...과태료 부과하는 조례 없어 지자체는 ‘난감’ 민수짱 08.13 394 1
20341 잊혀진 참전용사들…“일본서도, 한국서도 소외” 민수짱 08.13 156 0
20340 국가유공자 7급 보훈 급여 현실화 및 즉각적 개선 요구 댓글+2 건강지킴은건강할때 08.12 992 4
20339 “민생지원금도 15만원인데”…참전유공자 예우 놓고 정무위 시끌, 왜? 민수짱 08.08 770 0
20338 [단독] "국방비 'GDP 5%'…보훈예산·민군R&D 등 합산" 민수짱 08.08 683 0
20337 장애인 버스 지원 안내 댓글+3 영진 08.06 827 0
20336 [JTBC 단독] 김 일병 사망 당시…현장 지휘관은 차에 남아 '게임' 민수짱 08.05 345 0
20335 국가유공자의 치료권 실효성과 병원 선택권 확대를 위한 국민청원서 (작성자 : 윤예자 제안… 젓은낙옆 08.03 604 2
20334 권오을 “민주유공자법 제정 서둘러야…예산 1%는 보훈예산으로” 댓글+2 민수짱 08.01 1044 1
20333 서울 지자체 중 9곳만 참전유공자 배우자에 지원금 민수짱 07.30 371 0
20332 '선임병 가혹행위·익사' 의무복무자, 26년 만에 보훈보상대상자 인정 댓글+3 민수짱 07.30 354 0
20331 보훈대상자에게 가장 절실한 의료급여수급혜택에 대해?(작성자: 권영복 제안일자 : 2025.0… 댓글+5 젓은낙옆 07.29 933 3
20330 7급 수당 현실화 요구 댓글+6 초근화 07.28 1813 6
20329 국가유공자 건강보험료 제도, ‘배제’가 아닌 ‘면제 또는 미부과’로 개정해주세요. 댓글+11 국군대구병원 07.28 1273 5
20328 고엽제 피해자 관련 7월 22일 한겨례21 기사 내용 2세3세 자녀들이 고통받고 있습니다 댓글+1 지우지우 07.24 370 0
20327 대통령의 국민소통 광장에 접수한 고엽제법 개정 제안 답변서(본 게시판 20314 번 글 관련… 중환 07.17 587 0
20326 "한마디로 죽이 됐다"…제주 호국원 묫자리 파보니 '진흙탕' 민수짱 07.15 531 0
20325 서울교통공사 "국가유공자 무임승차 비용 달라" 보훈부에 소송 댓글+2 민수짱 07.15 1210 0
20324 상이군경회에서 목소리를 내주세요!!!!! 댓글+7 떴다양박사 07.15 1364 4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