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을 장관 “메달 따면 연금에 보훈 혜택 검토…올림픽 수상도 보훈대상 될 수도”
정충신 선임기자
입력 2025-09-03 17:35
권오을 보훈부 장관 기자단 간담회
“1·2·3대 후손이 아무도 보상 못받으면 4·5대 후손이라도 혜택 받게”
내년 보훈부 예산, 3.3% 늘린 6조6582억원…생존 애국지사 예우금 2배 인상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이 “올림픽 등 국제대회에서 메달을 받은 이들도 국가 유공의 대상이 되지 않나 생각한다”며 올림픽 메달리스트 등 국위선양자를 보훈 대상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권 장관은 3일 서울 용산구 국방컨벤션에서 가진 기자단 대상 정책간담회에서 “보훈부가 공동체를 위해서 국위를 선양한 분들에 대해서도 보훈 대상으로 배려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권 장은 “우리 사회에 전쟁이 없으면 국가유공자와 유족의 숫자는 줄어들 것이고, 앞으로 보훈부가 어떤 영역에서 뭘 해야 할지에 대한 생각에서 나온 이야기”라며 “올림픽뿐만 아니라 국제대회가 많은데, (메달리스트 등) 이들의 연금이 생각보다 적다고 생각한다. 공동체에 헌신하고 희생한 분에게 (보훈 혜택이) 지급되면 좋겠다”는 의견을 밝혔다.
권 장관은 “독립운동하면 3대가 망한다는 말이 있다. 실제로 독립운동하면 그 자손은 제대로 교육받지 못하는 등 집안이 무너졌다”며 “(보훈부에서는) 1·2·3대 후손이 아무도 보상받지 못했다면, 그 아래 4·5대 후손이라도 혜택을 받게 하도록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6·25전쟁, 월남전 등 참전유공자들이 제기할 수 있는 불만에 대해 권 장관은 “독립유공자는 나라를 잃었을 때 전 재산 등 모든 걸 바쳐서 독립운동한 만큼 조금 더 가중치를 둬야 한다고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권 장관은 민주화 유공자들에 대한 보상·예우 근거를 담은 민주유공자법 제정안, 독립유공자의 4·5대 후손들에 대한 보상 근거를 담은 독립유공자법 개정안 등 국회에 계류된 법안들이 통과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연말까지 ‘국가보훈 5 개 년 계획’을 수립하고 대통령에게 보고할 계획이라고도 덧붙였다.
한편, 보훈부는 2026년도 소관 예산안을 올해 대비 2115억원(3.3%) 늘린 6조6582억원으로 편성했다.
보훈부에 따르면 생존 애국지사 특별예우금은 기존 월 157만∼172만원에서 315만∼345만원으로 2배로 인상되고, 국가유공자 보상금은 5%, 참전명예수당과 무공영예수당, 4·19혁명공로수당은 각각 3만원 인상된다.
아울러 보훈대상자 간 보상 격차 완화를 위해 상대적으로 보상수준이 낮았던 7급 상이자 보상금과 6·25전몰군경 자녀 수당이 일부 인상된다.
사각지대 없는 보훈 구현을 위해 참전유공자 사망 후 남겨진 고령·저소득 배우자를 위한 생계지원금을 신설하고, 부양가족수당 지급 대상을 재해부상군경7급으로까지 확대했다.
이를 통해 총 2만여명(생계지원금 1만5800여명, 부양가족수당 3800여명)의 보훈대상자가 추가로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훈부는 예상했다.
보훈부는 보훈병원이 없는 강원·제주 지역에 보훈병원에 준하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준보훈병원’을 도입하고, 의원급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위탁병원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지금 요건하고 등급기준 강화하면서 받아야할 사람도 떨구면서 왜 저런 식의 구상을 할까요
지금 하고 있는거나 좀 제대로 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