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행사] 제68회 현충일 추념식, 윤석열 대통령 추념사

[보훈행사] 제68회 현충일 추념식, 윤석열 대통령 추념사

공지사항


[보훈행사] 제68회 현충일 추념식, 윤석열 대통령 추념사

1 1,986 2023.06.06 12:52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제68회 현충일 추념식, 윤석열 대통령 추념사

대한민국의 영웅들을 더 잘 살피고 예우하겠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 추념사 전문 >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250만 국가유공자와 보훈가족 여러분!

오늘 우리는 국권을 회복하고 자유 대한민국을 지키고자 온몸을 바치신 분들을 기억하고 추모하기 위해 이 자리에 함께하고 있습니다.

이곳 국립현충원에는 국가와 국민을 위해 고귀한 희생을 하신 19만 1,000여 분이 영면해 계십니다.
나라를 위해 숭고한 희생을 하신 선열께 경의를 표하며 머리 숙여 명복을 빕니다.
사랑하는 가족을 잃고 오랜 세월 힘든 시간을 보내셨을 유가족 분들께도 깊은 위로의 말씀을 다시 올립니다.
공산 세력의 침략으로부터 자유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함께 피를 흘린 미국을 비롯한 유엔 참전국 용사들,

국가의 부름을 받고 세계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헌신하신 해외 파병 용사들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저는 오늘 추념식에 앞서 故 김봉학 육군 일병의 안장식에 참석했습니다.
김봉학 일병은 1951년 9월 ‘피의 능선’ 전투에서 전사하셨습니다.
이 전투는 우리 국군 5사단과 미군 2사단이 힘을 합해 인민군 2개 사단을 격퇴한 전투입니다.
이 전투에서 우리 군과 미군은 1개 연대 규모의 사상자를 낸 반면, 인민군은 1개 사단 규모 이상의 대규모 사상자를 낼 만큼 인민군을 대파한 전투였습니다.

당시의 격전 상황은 美 종군기자들이 ‘피로 얼룩진 능선’(Bloody Ridge)이란 뜻에서 ‘피의 능선’으로 보도할 만큼 치열했습니다.
그때의 치열한 전투상황을 알려주듯 고인의 유해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서로 떨어진 곳에서 발굴되었습니다.
고인의 유해는 올해 2월 신원을 확인할 수 있었고, 춘천지구 전투에서 앞서 전사한 동생 故 김성학 육군 일병의 묘역에 오늘 같이 안장하였습니다.

두 형제가 조국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6·25전쟁에 참전한 지 73년 만에 유해로서 상봉하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아직도 수많은 국군 전사자 유해는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우리 국군 16만 명이 전사했지만, 12만 명의 유해를 찾지 못했습니다.
6·25전쟁에서 우리 동맹국인 미군도 3만 7,000명이 전사했습니다.
정부는 호국영웅들께서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끝까지 노력하겠습니다.
국외에서 독립운동을 하다 순국하신 선열들의 유해를 모셔오기 위한 노력도 계속할 것입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북한은 핵과 미사일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핵무기 사용을 법제화했습니다.
저와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4월, 미 핵 자산의 확장 억제 실행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는 '워싱턴 선언'을 공동 발표했습니다. 한미동맹은 이제 '핵 기반 동맹'으로 격상되었습니다.
우리 정부와 군은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철통같은 안보 태세를 구축하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겠습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국가의 품격은 국가가 누구를 어떻게 기억하느냐에 달려있습니다.
대한민국은 국민이 주인인 나라, 자유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독립과 건국에 헌신하신 분들, 공산 전체주의 세력에 맞서 자유를 지켜내신 분들의 희생과 헌신 위에 서 있습니다.

이분들은 국가의 영웅입니다.
우리 후대에게 영웅의 이야기를 전하고 가르침으로써 이분들을 잊지 않고 기억해야 국제사회에서 나라다운 나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어제 국가보훈처가 국가보훈부로 승격되었습니다. 대한민국의 영웅들을 더 잘 살피고 예우할 것입니다.

지난 3월 6일 김제소방서 성공일 소방교가 화재 현장에서 안타깝게 순직하였습니다.
소방관이 된 지 열 달 밖에 되지 않은 30세의 꽃다운 청년이 집 안에 사람이 있다는 다급한 외침을 듣고 불길 속으로 뛰어들었습니다.
우리가 지금 이 순간에도 안전한 일상을 영위할 수 있는 것은 성 소방교처럼 자신의 안위보다 국가와 국민을 먼저 생각하는 제복 입은 영웅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나라의 안위와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던진 군인, 경찰, 소방관 등 제복 입은 영웅들을 끝까지 기억하고 예우하는 것은 국가의 책무입니다.
정부는 제복 입은 영웅들과 그 가족들이 용기를 잃지 않고 자긍심을 가지는 데 소홀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자유민주 국가를 건설하고, 수호하신 분들, 나라의 주인인 국민의 안전을 위해 희생하신 분들을 제대로 기억하고 예우하는 것은 우리 자유민주주의 헌법의 실천 명령입니다.

저는 대통령으로서 국가의 독립, 영토의 보전, 국가의 계속성을 수호할 헌법상 책무를 지고 있습니다.
헌법상 책무를 다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우리 모두 영웅들의 헌신과 희생을 기억하고 예우하는 것은 우리 모두가 이 나라의 주인이고, 주권자라는 것을 확인시켜 주는 행위입니다.
감사합니다, 여러분.


Comments

영진 2023.06.06 13:33
오늘 서울 현충원 추념식 참석하고 왔습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373 [2023년 행안부 업무보고] 2월 국회에서 보훈부 승격법안 통과시키겠다, 장제원 행안위원장 2023.01.30 3615 0
1372 [2023년 보훈처 업무보고] 윤석열 대통령 발언, 박민식 보훈처장 발표, 보훈토론회 2023.01.29 3968 0
1371 [2023년 보훈처 업무보고] 보훈정책 어떻게 달라질까? 윤석열 대통령 발언, 박민식 보훈처장… 2023.01.29 2531 0
1370 [보훈처] 보훈정책 어떻게 달라질까? 2023년 국가보훈처 업무보고 주요내용 댓글+2 2023.01.28 3385 0
1369 [서울시] 저소득 보훈대상자 수당 확대, 장애인 버스요금 지원 시행 2023.01.24 3358 1
1368 [설명절인사]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영웅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댓글+8 2023.01.22 1959 0
1367 [안내] 설 연휴 기간 전국 국립묘지·보훈병원 비상 근무체계 가동 2023.01.19 2229 0
1366 [보훈정보] 2023년 6월, ‘국가보훈 장해진단서’ 도입 보훈심사 신속 처리 댓글+6 2023.01.13 6812 0
1365 [보훈소식] 남겨진 영웅들의 자녀, 국가가 함께 지킨다 2023.01.13 1939 0
1364 [보훈제도안내] 국가보훈대상자 생활조정수당 제도 안내 2023.01.13 3734 0
1363 [2023년 달라지는 보훈제도] 통합 ‘국가보훈등록증’ 도입, 대부‧대출 지원 강화 등 2023.01.13 4281 1
1362 [보훈처] 2023년 정전 70주년, 6.25 참전유공자에게 새로운 제복 지급 2023.01.13 2074 0
1361 [국방부] 군 영외마트 이용방법, 이용대상, 신분확인 방법, 전국 현황 (2023.01) 댓글+2 2023.01.06 8543 1
1360 [보훈처] 2023년 올해 6월부터 '국가보훈등록증' 하나로 통합 댓글+6 2023.01.05 10176 2
1359 [바로잡습니다] 보훈보상대상자(재해부상군경,공무원)의 수송시설 이용보호, 교통지원 관련 댓글+1 2023.01.04 3660 0
1358 [보훈대부] 2023년 보훈대부지원 상한액 및 이율 고시 (2022년 대비 각 1% 인상) 댓글+2 2023.01.02 5255 0
1357 [신년인사] 2023년 계묘년(癸卯年) 새해를 맞이하여 호국영웅들께 드리는 글 댓글+12 2022.12.30 3106 3
1356 [주요내용 FAQ] 상이 국가유공자, 2023년 1월 1일부터 교통복지카드 전국호환 시행 댓글+6 2022.12.30 11068 1
1355 [법률] 보훈보상대상자 고궁 공원, 공공기관 수송시설, 양육시설 지원 법률안 의결 댓글+3 2022.12.29 3912 0
1354 [2023년_보훈급여금_월지급액표_보훈보상대상자(재해부상순직군경)] 보훈보상대상자 유족 보훈보… 2022.12.24 5462 0
1353 [2023년_보훈급여금_월지급액표_참전_무공_고엽제] 참전유공자 무공 고엽제 보훈보상금 급여 … 2022.12.24 3666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