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 "나라에 헌신했지만"...생활비도 빠듯한 참전 용사들

[보도] "나라에 헌신했지만"...생활비도 빠듯한 참전 용사들

공지사항

[보도] "나라에 헌신했지만"...생활비도 빠듯한 참전 용사들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 국사모 유튜브, 카카오톡 채널에 가입하시면 관련 소식을 보내드립니다.
▷ 전화 : 0505-379-8669
▷ 이메일 : ymveteran@naver.com
▷ 국사모 쇼핑몰  : https://www.kbohun.com
▷ 국사모 카카오톡 채널 가입  : https://pf.kakao.com/_NDxlKl
▷ 국사모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s://bit.ly/3taVGkA
▷ 국사모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ymveteran.com
▷ 국사모 공식 블로그 : https://ymveteran.tistory.com

보도 : YTN

"나라에 헌신했지만"...생활비도 빠듯한 참전 용사들
2024년 02월 18일 05시 38분

[앵커]
정부는 6·25 전쟁과 월남전에서 나라를 위해 싸운 용사들에게 참전 명예 수당을 지급합니다.
유공자들을 예우하는 차원인데 금액 자체가 너무 적고 지자체마다 천차만별이라서 개선 목소리가 나옵니다.
윤태인 기자가 참전 용사들을 만나고 왔습니다.

[기자]
중학생일 때 6·25가 발발해 학도병으로 참전했던 강구곤 할아버지는 전장에서 부상자를 돌봤습니다.
올해로 아흔 살, 주변에 남은 사람이 없습니다.

[강구곤 / 6·25 참전 유공자 : 우리 또래는 다 겪은 전쟁에 이렇게 다 군대 갔고, 지금은 나이 먹고 너무 고생이 많아요. 자식들이 다 외국 가서 있지요, 마누라도 죽고 없지요.]
외로움은 그러려니 견딘다 해도 경제적인 어려움을 이겨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은퇴하면서 고정 수입이 끊긴 지도 무려 20여 년.
믿고 의지할 데라곤 정부나 지자체뿐입니다.

[강구곤 / 6·25 참전 유공자 : 우리나라 재건이 돼가지고 지금 부자, 부자예요. 우리한테 충분히 보상해 줄 수 있고. 어려워서 죽는 사람들, 총 맞아서 죽는 사람들, 이래저래 정말 많이 죽었잖아요.]
나라를 지키기 위해 총을 들어야 했던 청춘들은 이제 모두 백발의 노인이 됐습니다.
이제는 어느 때보다도 도움이 필요하지만 지원은 턱없이 부족하고,
어렸을 때 전장에 나서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한 탓에 노후까지 발목을 잡히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류제식 / 6·25 참전 유공자회 서울지부장 : 못 배웠어요. 6·25 전쟁 바람에 못 배워서 높아지지 못했다고. 높아지지 못했기 때문에 나와서 기초생활보호자만큼 못사는 사람이 많이 있는 것이 지금 우리 6·25의 실정입니다.]
월남전 참전 용사들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정부가 국가에 헌신한 유공자들을 위한 예우를 해준다지만, 아내와 단둘이 생활하는 것도 버겁습니다.

[조기동 / 월남전 참전 유공자 : 일자리도 구하려고 굉장히 노력하고 있어요. 그런데 그게 잘 안 되더라고요. 2인 가족 기준으로 최소한도 한 200만 원 이상은 가져가야 생활이 되는데….]
6·25 전쟁이나 월남전에 참전해 나라에서 인정한 참전 유공자는 21만여 명으로,
6·25 참전유공자는 90대가 80% 이상을 차지하고, 월남전 참전유공자도 70대 이상이 대부분입니다.
정부에서는 참전 용사들에게 한 달에 42만 원을 지급하고 지자체가 수당을 추가 지급하지만, 지역별로 편차가 있어서 차별이란 지적도 나옵니다.
국가보훈부는 각 지자체에 참전 명예 수당을 늘리라고 권고했지만, 빠듯한 재정 상황을 고려하면 한계가 뚜렷합니다.
나라에 몸 바친 역사의 증인으로서 참전 용사를 존중하고 대우해야 하지만, 과거 전쟁과 싸운 용사들은 오늘 가난과 씨름하는 처지가 됐습니다.

YTN 윤태인입니다.

촬영기자 : 이수연
그래픽 : 김진호

YTN 윤태인 (ytaein@ytn.co.kr)


Comments

뺑가리 03.04 12:52
위 내용인즉...

젊을때...나라에 헌신 했지만...
늙을때...나라는 나를 버려...
굶어죽게 만들었다.  이군요 !!  줸장 !!
국민이국가이다 03.04 12:56
그분들은 대한민국을 지키려고 목숨까지 바쳤지만 대한민국은 그분들을 버렸다.
참 씁씁하네요.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622 [보훈지원] 2024년 대상분류별 국가유공자 참전 보훈대상자등 보훈지원 안내자료 2021.03.28 22918 2
1621 [보도설명자료] 보훈부, 참전수당 인상 지속 추진. 참전유공자 의료지원 확대등 02.18 1474 0
열람중 [보도] "나라에 헌신했지만"...생활비도 빠듯한 참전 용사들 댓글+2 02.18 1295 0
1619 [정책] 지방세특례법, 승용차 세금 감면에 따른 보훈부 정책홍보 행태 댓글+6 02.16 1865 2
1618 [보도] 보훈부, 민·관 협력체계로 ‘국가보훈 개혁’ 나선다 댓글+18 02.06 2967 0
1617 [정책] 줬다 뺏는 지자체 보훈 참전명예수당, 상향 평준화로 개선해야 댓글+3 02.03 2866 1
1616 [안내] 복지부, 상이 보훈대상자(3~7급) 대상 활동지원 신청 허용 등 01.30 3741 1
1615 [공지] 고엽제법 국회통과, 고엽제 후유의증 4대 질환 고엽제 후유증 편입 01.26 1170 1
1614 [공지] 제22대 총선(2024.4.10 수) 보훈정책공약 의견수렴 댓글+35 01.25 3188 1
1613 [보훈급여금] 2007년~2019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01.22 1402 0
1612 [보도] 생전(生前) 국립묘지 안장 여부 확인, ‘나이 상관없는 질병’까지 확대 01.22 908 1
1611 [유튜브] 2022년 국사모 대국민 호국보훈 캠페인 영상 2, 젊은날 그대의 선택은 고귀했습니… 댓글+1 01.17 852 0
1610 [유튜브] 2022년 국사모 대국민 호국보훈 캠페인 영상 1, 국가를 위해 특별한 희생을 한 … 01.17 485 0
1609 [보도] 국가보훈가족 명절 생계 안정 위해 보훈급여금 다음 달 8일 조기 지급 댓글+15 01.16 2216 2
1608 [보도] 권익위, 보훈대상자 품위손상행위…형평성 고려해 보상 정지해야 01.15 1009 0
1607 [안내] 국가유공자 심리재활서비스, 실질적 치료까지 연계토록 개편 01.15 494 0
1606 [보도] 충남 서산시, 참전명예수당 월 50만원, 보훈수당 월 20만원, 전국 최고수준 댓글+2 01.14 952 1
1605 [안내] 국가유공자 등 상이등급 신체검사 이렇게 하면 날벼락 맞는다 댓글+3 01.13 3119 1
1604 [안내] 보훈부, 국가유공자 전용 온라인 즉시 대출 도입... 1월부터 시행 댓글+6 01.12 1472 0
1603 [긴급공지] 재해부상군경(공무원)등의 지하철 무임 발권기 현황(2024.01.08 기준) 댓글+2 01.08 1304 0
1602 [안내] 대전시 청년부상제대군인 등 진로탐색비 100만원 지원 01.07 520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