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 옆도시 이사 갔더니… “65세 안돼 보훈 명예수당 못드립니다”

[보도] 옆도시 이사 갔더니… “65세 안돼 보훈 명예수당 못드립니다”

공지사항

[보도] 옆도시 이사 갔더니… “65세 안돼 보훈 명예수당 못드립니다”

4 2,637 2021.11.19 11:34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옆도시 이사 갔더니… “65세 안돼 보훈 명예수당 못드립니다”
지자체별로 재정 여력 따라 수당 액수·나이 제한 달라
“똑같은 국가유공자인데 심리적 박탈감 줄 수 있어”

조선일보 김동현 기자 입력 2021.11.19 04:02

경기도 부천시에 거주하는 박용래(44)씨는 1999년 군 복무 도중 허리를 다쳐 의병 제대했고, 이후 상이등급 7급 판정을 받은 국가유공자다. 허리 통증으로 오래 앉지 못하게 되자 그는 직장 취업을 포기하고 공사 현장을 전전하며 생계를 이어왔다. 지난 7월부터는 서 있는 것조차 힘들어져 집에서 쉬고 있다. 국가에서 주는 월 49만6000원의 보훈 보상금이 그의 수입 전부다.

한창 일할 나이에 일하지 못하는 것보다 그가 섭섭하게 생각하는 것은 지난해 부천시로 이사오면서 보훈명예수당이 박탈된 것이다. 이사와 함께 주민센터에 수당 신청서를 냈는데, 부천시청으로부터 “65세 이상에게만 지급하는 시(市) 지침상 수당을 줄 수 없다”는 연락을 받은 것이다. 그가 이전에 살던 광명시에선 나이 제한 없이 월 3만원씩 보훈명예수당을 지급해왔다. 박씨는 “돈 몇 만 원 못 받은 걸 떠나서, ‘65세가 안 된다’는 이유로 지급하지 않는 걸 납득하기 어렵다”고 했다.

경기도 양주시에 거주하는 김모(48)씨도 1994년 군 복무 중 왼쪽 귀의 청력을 잃은 국가유공자지만, 같은 이유로 지자체로부터 보훈 수당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는 “집에서 차로 5분도 안 걸리는 포천시는 나이 제한 없이 10만원씩 수당을 지급하는데, 국가를 위해 봉사하고도 나이와 사는 곳에 따라 수당을 주고 안 준다는 사실에 차별감을 느낀다”고 했다.

일부 지자체가 ‘65세 이상’이란 자체 기준을 정해놓고 국가유공자들의 보훈명예수당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수당을 지급하는 전국 213곳의 지자체 가운데 경기 부천·성남·수원·양주·용인시를 비롯해 연천군, 강원 춘천시, 전남 영암군 등 최소 10곳이 이 같은 ‘나이 제한’ 규정을 두고 있다. 보훈명예수당은 공상군경, 고엽제 후유증 환자, 특수 임무 유공자 등 보훈대상자나 유족들에게 각 지자체가 지급하는 월 10만원 안팎의 수당이다. 정부가 지급하는 보훈 보상금과는 별개로 지자체가 재량을 갖고있다. 국가유공자들 사이에선 “65세 이상이 아니란 이유로 보훈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은 명백한 차별”이란 불만이 나온다. 전국 84만여 보훈대상자 가운데 65세 미만은 전체의 23% 수준(19만2999명)이다.

지자체들은 ‘재정 부족’을 이유로 든다. 양주시 관계자는 “6·25와 월남전 참전 유공자들이 대부분 65세 이상이다 보니 그 기준이 아직 남아있는 것 같다”며 “우리도 지급 대상을 확대하는 걸 검토 중이지만 예산 문제 때문에 쉽지 않다”고 했다. 전남 영암군 관계자도 “국가유공자를 최대한 예우해야 한다는 필요성은 느끼고 있지만, 결국 재정 여건에 맞춰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 국가유공자를 사랑하는 모임의 노용환 대표는 “전체의 20% 수준인 65세 미만 국가유공자에게 수당을 주지 못하는 게 경제력 탓이라는 지자체 설명은 납득이 잘 가지 않는다”고 했다.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중앙 부처가 지급하는 보훈 보상금과 달리, 보훈명예수당은 지급 기준이나 액수가 각 지자체의 재정자립도, 지자체장의 의지 등에 달려 있다”며 “만 65세 이상이라는 보훈 대상자 나이 제한이 국가유공자들에게 차별감을 줄 수 있다는 점에 대해 충분히 공감하며, 각 지자체를 상대로 대상 확대를 권고 중”이라고 했다. 경기도 안산시·파주시, 경북 칠곡군 등도 나이 제한을 뒀다가 보훈 확대 차원에서 해당 규정을 없앴다.

한국보훈포럼 회장인 김태열 영남이공대 교수는 “똑같은 국가유공자인데 나이가 많지 않다고, 또 사는 지역이 다르다는 이유로 수당 지급 여부가 달라지는 건 생계 유지를 떠나 국가유공자들에게 큰 심리적 박탈감을 줄 수 있다”며 “지자체장 의지만 있다면 예산과 상관없이 충분히 개선할 수 있는 문제”라고 했다.

제공 : 조선일보
기사원본 : https://www.chosun.com/national/2021/11/19/LFKV256IYBGNRAJEW5GP7VJ5RA/


Comments

아기공 2021.11.20 10:20
성남이나 용인은 지자체 재정도 탄탄한 것으로 알고있는데 차별지급이라니.
맨담 2021.11.20 15:22
판공비 최고라는 울산광역시도 마찬가지 입니다.
어이가 없네요
영진 2021.11.20 17:14
서울 에눈 나이 관련  업이  다 지급 됨니다
변상화 2021.12.03 15:41
수원은65세이하 아무것도안줘요.이번에화성이사왔는데8만원씩받아요 그리고명절에3만원더해서11만원주더라구여.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777 [공지] 새끼손가락(소지) 상실 관련 상이등급 판정 안내(상이등급 관련 시행령등) 댓글+1 2020.12.07 2205 1
776 [보훈처] 2011년도 보훈 예산현황 2011.06.03 2204 0
775 [공지] 2024년도 예산안 관련 당정협의회. 일류보훈 뒷받침하겠다. (2023.8.23) 댓글+2 2023.08.24 2203 0
774 [공지] 당신의 고귀한 선택이 대한민국을 지켜냈습니다. 젊은날 그대의 선택은 고귀했습니다. 댓글+1 2022.04.22 2201 0
773 [법률] 보훈보상대상자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 시행 (상이처 인과관계) 2020.09.07 2200 0
772 케이블TV의 부당한 요금할인체계에 대한 중간 보고서 2003.11.24 2199 0
771 [공지] 국사모 손은익회원님의 상군 ITS사업소 소장임명을 축하드립니다. 2006.09.12 2196 0
770 [구인] 회계업무 경력이 있는 40세미만의 유공자본인 2004.05.21 2195 0
769 [필독공지] 국가유공자 보훈 등록, 상이등급 신체검사 안내 2021.03.24 2195 1
768 [보훈처] 2020년도 보훈급여금 등 구분 대상별 지급 현황 2021.11.05 2195 0
767 유공자 판례정보를 올렸습니다. 2003.10.01 2192 0
766 [보도] 국가보훈가족 명절 생계 안정 위해 보훈급여금 다음 달 8일 조기 지급 댓글+15 01.16 2190 2
765 보훈대상자 지역보건소 진료비 감면 협조 추진 2003.10.13 2189 0
764 [성명서 보도자료] 국가유공자 중증질환 및 희귀질환자 '코로나19 백신' 조기접종 이뤄져야 2021.02.03 2188 0
763 [국가보훈처] 2020년 1월 20일 국민일보 관련보도에 대한 국가보훈처 반론 2020.01.26 2187 2
762 [보도자료] “군대서 다친 것도 서러운데”… 두 번 우는 CRPS 환자 2020.08.03 2187 0
761 호국보훈의 달 국가유공자관련 특집방송안내 2004.06.05 2186 0
760 [인사말] 풍성하고 편안한 한가위 보내시길 기원합니다. 2011.09.06 2186 0
759 [공지] 6월 6일 현충일 국사모 대표 방송 인터뷰 안내 2007.06.05 2185 0
758 [공지] 순직, 전사후 유족등록하신분들께 공지합니다. 2006.11.10 2183 0
757 [보훈정보] 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 고엽제 보철용차량 지원 혜택 2021.03.03 2182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