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국사모 '자문 법무법인' 서상수 대표 변호사 '의료분쟁조정위원장' 선임

[공지] 국사모 '자문 법무법인' 서상수 대표 변호사 '의료분쟁조정위원장' 선임

공지사항

[공지] 국사모 '자문 법무법인' 서상수 대표 변호사 '의료분쟁조정위원장' 선임

0 2,152 2019.09.10 07:03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존경하는 회원여러분.

국가유공자를 사랑하는 모임의 자문 변호사인 '법무법인 서로'의 서상수 대표 변호사님이 '의료분쟁조정위원장'으로 선임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
“갈등·충돌 현장 찾아 맡은 역할 최선”
서상수 의료분쟁조정위원장
기사입력2019.09.08. 오후 6:21

201909081820_14130924096788_1_20190908182105096.jpg?type=w430

“의료분쟁조정중재기관은 객관적이고 공정해야 합니다. 기관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기여하고 싶습니다”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서상수 의료분쟁조정위원장(법무법인 서로 변호사·사진)은 “공정한 기관으로 자리 잡도록 노력하겠다”며 이 같은 포부를 밝혔다.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이하 의료중재원)은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2012년 설립된 기관이다. 의료인과 환자 사이의 갈등을 조정 및 중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아직 해결해야할 과제가 적지 않다. ‘2018년도 의료분쟁 조정·중재 통계연보’에 따르면,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의료사고 분쟁 조정이 신청된 1만838건 중 실제 조정이 개시된 사건은 5622건으로 절반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의료인과 환자 사이에 의견이 일치되지 않아 취하 또는 각하됐다.

서 위원장은 의료전문 변호사로 활동하면서 다수의 의료분쟁 사건을 맡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의료문제는 되도록 중재기관에서 끝나야 한다. 소송으로 갈 경우 비용과 시간이 너무 많이 든다”는 견해를 밝혔다. 의료사고는 중재로 가는 것이 해결방안으로 가장 적합하다는 것이다.

의료사고가 의심될 때 환자들도 당황하기 마련인데 서 위원장은 침착하게 자료부터 확보하고, 의료과실 여부를 따져보라고 조언한다. 그는 “많은 환자들이 결과를 보고 ‘의료사고’라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의사가 알 수 있었는데 몰랐거나, 피할 수 있었지만 못 피한 것만 의료과실이 된다. 여기에 의료진의 설명의무가 반드시 동반돼야 한다”며 “의료사고가 의심된다면 가장 먼저 진료기록을 확보하고, 관련 분야 의사나 변호사 등 전문가와 상담해서 적절한 절차와 방법을 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 위원장은 기본적으로 환자와 의료인 모두 동의해야 조정절차가 개시될 수 있는 만큼 의료중재원 자체의 공정성과 신뢰성 확보를 가장 중요한 과제로 지목했다. 그는 “의료분쟁은 소송으로는 답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너무나 많다. 상당수 의료사고가 별다른 조치 없이 묻히는 것도 이런 이유가 크다”며 “의료중재원은 환자나 의료인, 누구의 편이 되어서도 안 된다. 의료분쟁해결에 있어 확고한 대표기관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조정과 중재를 지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료인은 의료분쟁조정제도에 대해 여전히 피해의식이 남아 있고 그 참여를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며 “의료인의 피해의식을 없애고 ‘다른 제도나 소송에 비해 친숙할 수 있고 유익할 수 있는 분쟁해결제도’라는 인식을 갖도록 제도를 보완하고 홍보해 적극적으로 제도를 이용하도록 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또 “의료중재원의 조정중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의료분쟁해결 시스템을 잘 갖추고 있는 의료기관을 선정하는 등 의료분쟁조정중재제도의 이용을 권장하는 우회적이고 간접적인 제도의 도입을 강구할 필요도 있다”고 제안했다.

서 위원장은 “조정준비기일, 지방조정, 야간조정, 간이조정 등을 활용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모색할 생각”이라며 “의료분쟁조정위원장의 역할과 기능 범위 내에서 제도 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힘줘 말했다.

전미옥 쿠키뉴스 기자 romeok@kukinews.com


Comment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399 [보도설명자료] 보훈부, 참전수당 인상 지속 추진. 참전유공자 의료지원 확대등 02.18 1441 0
398 [보도] 국민권익위, “입대 전 범죄사실 이유로 국가유공자 예우·지원 제외는 잘못” 2021.11.23 1440 0
397 [공지] 국사모 유튜브채널(YOUTUBE)을 안내합니다. 댓글+1 2020.10.17 1439 0
396 [정보공개] 국가보훈대상자 전기 도시가스 공공요금 감면 현황 2023.03.15 1427 0
395 [안내] 보훈부, 국가유공자 전용 온라인 즉시 대출 도입... 1월부터 시행 댓글+6 01.12 1427 0
394 [보훈단체] 13개 보훈단체 정관(2020.02기준) 광복회, 상이군경회, 참전단체 등 2022.06.25 1425 0
393 [2022년] 경상남도 보훈명예수당, 참전명예수당, 보훈단체등 보훈대상자 지원현황 댓글+4 2022.08.09 1425 0
392 [오피니언] 이제는 국가와 우리 모두가 호국영웅들을 지켜내야.. 댓글+9 2023.06.20 1422 0
391 [공지] 신임 국가보훈부 장관 내정, 강정애 숙명여대 교수 댓글+6 2023.12.04 1422 1
390 [공청회] 국회 국방위 "월남전 참전군인 전투근무수당 관련 법률에 대한 공청회"안내 (2022… 2022.01.04 1420 0
389 [YTN보도자료] 요건 갖췄지만, 자격 주지 않는 보훈심사 2021.06.06 1419 0
388 [보훈단체] 국가보훈처의 부(部) 승격 환영, 국회의 조속한 처리 기대 댓글+3 2022.10.12 1405 0
387 [사망일시금] 정부와 지자체의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유족 사망시 사망일시금(위로금) 댓글+2 2023.03.23 1405 0
386 [보훈처] 2021년 6월 ’호국보훈의 달‘ 주요 사업 추진 2021.06.01 1404 0
385 [제휴정보] 6.25전쟁 참전국 필리핀을 향한 위대한 의료봉사, JC빛소망안과 최경배 원장 2022.12.01 1402 0
384 [유튜브] 2007년 MBC Radio "손석희 시선집중" 가산점관련 대표 인터뷰 2020.10.25 1401 0
383 [취업] 양천구시설관리공단 주차 및 환경관리 무기계약직 (~11.1) 댓글+1 2021.10.26 1398 0
382 2018년 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 보훈보상금 (보훈급여금 보훈연금) 월지급액표 2020.03.03 1394 0
381 [자료] 외국 주요국가의 보훈제도 2021.03.27 1388 0
380 [공지] 풍성하고 행복한 추석 명절 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댓글+7 2023.09.27 1388 0
379 [보훈처] 중앙보훈병원에서 간병인·사회복무요원이 석션 등 의료행위 2021.12.29 1387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