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법예고] 국가보훈부, 기존 1실 9국 24과 체계에서 '2실 10국 29과'로 출범

[입법예고] 국가보훈부, 기존 1실 9국 24과 체계에서 '2실 10국 29과'로 출범

공지사항

[입법예고] 국가보훈부, 기존 1실 9국 24과 체계에서 '2실 10국 29과'로 출범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자료제공 : 국가보훈처

- 국가보훈부 '2실 10국 29과'로 출범
- 보훈정책실, 보훈문화정책과, 보훈문화콘텐츠과, 현충시설정책과 등 신설
- 보훈부 직원수, 기존 311명에서 26명 증원된 337명
- 21일, 행정안전부와 협의한 '국가보훈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안' 입법예고
- 보훈부승격후, 독자적인 부령(部令) 발령권 가능
- 합리적인 보훈 심사체계 마련을 위해 '보훈의료심의관' 신설, 보상정책국 산하 '심사기준과' 운영

국가보훈부가 올 6월5일 '2실 10국(관) 29과(담당관)' 체제로 출범한다.

향후 국가보훈부는 보훈가족과 국민이 체감하는 정책을 구현하기 위해 보훈정책실, 보훈문화 담당부서 등을 새롭게 신설하며 직원 수는 국가보훈처 때보다 26명 늘어난다.

보훈처는 지난 21일 '국가보훈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안'을 입법예고했다.

보훈처는 현재 '1실 9국(관) 24과(담당관)' 체제에서 보훈부 승격에 따라 1실과 1국(관), 5과(담당관)가 추가된 '2실 10국 29과'로 출범한다.

새로 만들어지는 1실은 '보훈정책실'이며 기존 국제협력관을 확대 개편한 '보훈정책관'과 보훈문화정책관, 보훈예우정책관 등을 총괄한다.

보훈부는 보훈정책실 보훈문화정책관 밑에 '보훈문화콘텐츠과'와 '현충시설정책과', 대변인 산하 '홍보담당관' 등 보훈문화 담당부서도 신설하며, 이외에 '보훈의료심의관'과 보상정책국 산하 '심사기준과'를 운영해 합리적인 보훈 심사체계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조직 개편으로 보훈부 직원 수는 기존 311명에서 26명 늘어난 337명이 된다. 구체적으로 △장·차관 등 정무직 2명 △별정직(장관정책보좌관) 2명 △일반직 333명이다. 일반직 중 고위공무원단은 기존 9명에서 11명으로 늘어난다.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보훈부 승격은 '일류보훈'을 국정 주춧돌로 삼은 윤석열 정부의 강한 의지를 담은 결과"라며 "최소한의 증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기 위해 이번에 조직 확대 규모는 크지 않게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보훈부승격에 따른 2024년 보훈예산이 그에 걸맞는 예산증액으로 이루어지지 않을거라는 관측과 보훈부 조직만 비대해지는것이 아니냐는 의견등으로 국가보훈대상자들의 불만이 표출되고 있는것을 정부는 유념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Comment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361 [보훈행사] "제8회 서해수호의 날" 윤석열 대통령 기념사 2023.03.24 594 0
360 [보훈행사] "제8회 서해수호의 날" 윤석열 대통령, 서해수호영웅 55용사 호명 2023.03.24 642 0
359 [참전보훈수당] 2016년 충남 서산 참전수당 20만원, 광주 남구 1만원, 지금은? 지자체 … 2023.03.31 943 0
358 [정책] 보훈수당의 이중지급금지 규정 하루빨리 재검토하여 참전 국가유공자 지원을 강화해야 댓글+1 2023.03.31 3274 0
357 [국정감사] 국방위 이종명 위원, 현역 군복무중인 국가유공자의 처우개선 문제 (2016.10.… 2023.04.01 933 0
356 [공지] 국사모 노용환 대표, 대한재택의료학회 창립총회 및 심포지엄 참석 (2023.4.2) 댓글+6 2023.04.03 1220 0
355 [공지] 중증 암환자의 척수강내 약물주입펌프이식술 지원에 대한 의견수렴 2023.04.04 917 0
354 [통계] 보훈등록 신체검사 행정심판 행정소송의 기본 유의사항 (2023년 행정쟁송현황) 2023.04.06 1045 0
353 [보훈처] 2023년 전공상군경 등 국가유공자의 시외 고속버스 할인이용 계약 안내 2023.04.08 2851 0
352 [서울 영등포구] 市 자치구 최초, 국가보훈대상자 장례지원을 위한 협약 댓글+3 2023.04.08 1597 0
351 [공지] 국사모 노용환 대표, 이종성 의원실 "소수장애 의견 청취를 위한 국회 간담회" 참석… 댓글+4 2023.04.22 1117 0
열람중 [입법예고] 국가보훈부, 기존 1실 9국 24과 체계에서 '2실 10국 29과'로 출범 2023.04.23 1688 0
349 [정보] 전국 자치단체별 참전명예수당 지급현황 (2023. 4. 1 기준) 2023.05.08 2079 0
348 [영상] 안성시의회 정토근 부의장의 눈물, 안성시 보훈참전명예수당 인상지급 거부 댓글+1 2023.05.12 941 0
347 [긴급공지] 국가보훈 요건인정, 신체검사, 보훈정책 관련 언론 취재 제보 요청 (~6.20) 댓글+1 2023.05.19 1248 0
346 [설문투표] "박민식 후보자의 국가보훈부 장관 임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023.05.21 770 0
345 [보훈부장관 인사청문회] 박민식 후보자 인사청문회. 후보자 선서, 모두발언 등 댓글+1 2023.05.23 703 0
344 [보훈부장관 인사청문회] 민주당 김성주 위원 질의 (보훈의료지원 개선) 2023.05.23 753 0
343 [보훈부장관 인사청문회] 국민의힘 윤창현 위원 질의 (지자체 보훈참전수당 등) 2023.05.24 654 0
342 [보훈부장관 인사청문회] 백혜련 정무위원장 총선출마 여부 질의,후보자 마무리발언 2023.05.24 668 0
341 [보훈부장관 인사청문회] 국가유공자는 도움의 대상이 아닌 예우의 대상 2023.05.25 1137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