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보도] 희소성 높은데. 희소성 중증질환 환자. 백신 우선 접종해야.

[SBS보도] 희소성 높은데. 희소성 중증질환 환자. 백신 우선 접종해야.

공지사항

[SBS보도] 희소성 높은데. 희소성 중증질환 환자. 백신 우선 접종해야.

0 928 2021.06.01 21:43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존경하는 회원여러분.

2021년 1월 28일, 국사모와 5개 희귀난치질환 환자단체는 희소성질환과 중증질환 환자에 대한 코로나백신 접종 우선순위 지정에 대한 공동성명 발표와 함께 질병청에 공식 요청하였으나 4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아무런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영국, 미국, 프랑스는 중증 호흡기질환, 암, 류마티스등 희소성 질환 환자의 코로나 치명률이 높다는 연구결과에 따라 이들에 대한 우선접송 순위를 70세 이상과 같은 우선 접종 대상자로 지정하여 접종계획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질병청의 신속한 결정이 절실합니다.

출처 SBS뉴스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Id=N1006339869&prog_cd=R1&service_dt=20210601

치명률 높은데…"희소병 환자, 백신 먼저 맞게"
조동찬 의학전문기자 dongcharn@sbs.co.kr 작성 2021.06.01 20:44 

<앵커>

치료가 쉽지 않은 암이라든지 또 희귀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코로나19에 걸리면 더 위험합니다. 하지만 코로나 백신 우선 접종 대상이 아니어서 지금으로써는 건강한 다른 사람들처럼 자기 순서가 오기를 기다려야만 합니다. 이제 백신 공급도 늘어나고 있는 만큼 접종 순서 역시 다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내용 조동찬 의학전문기자가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기자>

다발성 골수종이라는 희소 혈액암 환자인 김 모 씨, 코로나19는 위협 자체였습니다.

[백민환/희소 혈액암 환자 남편 : (부인이) 마스크를 두 겹씩 이렇게 해서 다녔어요. 특히 사람 많은 곳에서….]

백신 접종 인센티브 소식에 속도 상했습니다.

[백민환/희소 혈액암 환자 남편 : (부인이 백신) 맞고 싶은데도 맞지 못하는데, 정부에서는 맞으면 혜택을 주겠다 하고 있으니까 더 스트레스를 받고 있습니다.]

올해 48세 혈액암 환자 장신우 씨도 접종을 고대하고 있습니다.

[장신우/희소 혈액암 환자 : 계속 항암제를 투여하고 있거든요. 그래도 일상생활은 가능합니다. 그런데 단점이 면역이 떨어지는 겁니다.]

복합부위통증 증후군을 앓고 있는 강 모 씨, 커다란 가슴의 흉터는 마약성 진통제 펌프를 넣은 자린데 코로나 감염보다 코로나에 걸려 입원하는 게 더 무섭습니다.

희소병 치료가 어려워져서입니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 어머니 : (희소병)담당 주치의께서 격리 병원에 가서 주사를 주는 것도 아니고, 할 수가 없으니까 그게 가장 큰 걱정이에요.]

29살인 강 씨에게는 30세 이상만 신청할 수 있는 잔여 백신은 그림의 떡입니다.

중증 호흡기 질환자와 달리 암과 희소병 환자가 우선 접종 대상에서 빠진 건 근거자료가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 결과가 속속 발표됐습니다.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결과 희소병인 류마티스 환자의 코로나19 치명률은 44%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암환자는 코로나 치명률이 57% 높았고 백혈병 같은 혈액암은 2.3배, 폐에 전이된 경우에는 22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이유로 영국은 최근 암과 희소 병 환자를 70세 이상과 동일한 4번째 순위 접종 대상자로 올렸고, 미국과 프랑스도 같은 절차를 밟고 있습니다.

국내 희소병 6개 환자단체는 우선 접종 대상자로 선정해 달라고 질병청에 요청했는데, 석 달 넘게 답변을 못 받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조춘동, 영상편집 : 윤태호, VJ : 신소영) 


Comment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73 [보도] 목숨 바쳐 나라 지켰지만... 돌아온 건 ‘평생 고통’뿐 댓글+3 2023.06.08 1282 0
172 [보도] ‘불굴의 투혼’ 상이군경 국가유공자, 600km 국토종주 대장정 무사히 마쳐 댓글+4 2023.06.08 1848 0
171 [국회] 정무위 윤창현 위원, 상이7급보상금 참전명예수당등 배우자 승계 요청 댓글+3 2023.06.16 3825 0
170 [보훈부] 국립서울현충원, ‘1만여명 어린이들의 꿈동산’ 되다 2023.06.18 1105 0
169 [오피니언] 이제는 국가와 우리 모두가 호국영웅들을 지켜내야.. 댓글+9 2023.06.20 1464 0
168 [보도] 세종특별자치시에 ‘국가보훈광장’ 개원 댓글+2 2023.06.22 930 0
167 [보도] 국가보훈부와 서울시, <보훈문화> 확산위해 두손 잡는다 2023.06.22 916 1
166 [보도] 권익위, 보훈보상 7급 가족수당, 지자체 보훈수당 개선 권고 댓글+11 2023.06.22 3026 1
165 [공지] 국가보훈부, ‘6·25전쟁 제73주년 행사’ 25(일) 10시 장충체육관에서 거행 2023.06.24 779 0
164 [공지] 국립서울현충원 “돗자리 영화제 & 토크콘서트” 개최 (6.24 19:00) 댓글+7 2023.06.24 1119 0
163 [공지] 고엽제법후유증 4개 추가 질병 인정 법률, 정부개정안 확정 2023.06.27 1174 0
162 [공지] 대전보훈병원 재활센터 6월 28일(수) 11시 준공, 본격 서비스 제공 댓글+2 2023.06.27 1113 0
161 [공지] 모다모다,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국사모에 3,000만원 상당 물품 후원 댓글+14 2023.06.27 2847 2
160 [보도] 보훈부, 광역 자치단체 참전보훈명예수당 형평성 제고 및 연령제한 폐지 추진 2023.06.29 1634 0
159 [공지] 제2연평해전 승전 21주년, 서해의 별이 된 6인의 영웅들을 잊지 않겠습니다. 댓글+2 2023.06.29 831 0
158 [안내] 6.25 제복신청 공지 (2023. 1. 1 이후 생존 6.25 참전유공자) 2023.07.04 946 0
157 [공지] 무공 참전유공자 위탁병원 감면이용 연령제한 폐지 (2023년 10월부터) 2023.07.04 1050 0
156 [판례] 군인의 진지보수 작업 중 CRPS 발병, 국가유공자 요건 인정 판결 댓글+3 2023.07.05 1340 1
155 [공지] 국가보훈등록증 교체 신규 발급 안내 및 주요 FAQ 댓글+6 2023.07.08 3614 0
154 [안내] 고엽제 후유증(상이등급)과 후유의증(수당대상)의 차이, 고엽제 등록시 대처방법 2023.07.09 2031 0
153 [공지] 7월18일 시행, 재해부상군경(공무원) 지원대상자의 지하철 KTX 이용 안내 댓글+1 2023.07.10 2158 1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