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달라지는 보훈제도] 통합 ‘국가보훈등록증’ 도입, 대부‧대출 지원 강화 등

[2023년 달라지는 보훈제도] 통합 ‘국가보훈등록증’ 도입, 대부‧대출 지원 강화 등

공지사항


[2023년 달라지는 보훈제도] 통합 ‘국가보훈등록증’ 도입, 대부‧대출 지원 강화 등

0 4,281 2023.01.13 21:35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제공 : 국가보훈처, 나라사랑신문

2023년, 보훈제도 새해 이렇게 달라진다.

2023년부터 15종의 각종 국가유공자 관련 증명이 ‘국가보훈등록증’으로 통합 발급된다. 또 상이 국가유공자가 사용하는 교통복지카드의 지역별·교통수단별 이용 장벽을 없애는 전국 호환 교통카드가 도입된다. 국가보훈처가 새해 사업으로 추진하는 다양한 보훈정책, 달라진 제도를 정리한다.

◇통합 ‘국가보훈등록증’ 발급

올해부터 국가유공자증·5·18민주유공자증·특수임무유공자증 등 대상별로 각각 발급되던 15종의 국가유공자증이 하나의 ‘국가보훈등록증’으로 통합된다.

디자인 개선 등을 통해 품격과 편의성을 높인 국가보훈등록증은 올해 6월부터 순차적으로 발급된다. 발급대상자는 모두 66만 명이며 올해 30만 명, 내년 36만 명에게 각각 순차적으로 발급 완료할 계획이다. 희망자에게는 휴대전화에 탑재할 수 있는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도 함께 발급한다.

새 국가보훈등록증은 위‧변조 방지기능 등을 강화하고, 진위 확인시스템을 구축해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 수준으로 신분증명을 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교통복지카드 전국 호환

올해부터 상이 국가유공자 대상 교통복지카드가 전국 대중교통을 카드 한 장으로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기능이 개선됐다.

이로써 상이 국가유공자는 기존의 상이군경 회원증, 수송시설 이용증을 따로 보여주지 않고도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으며, 기존 교통복지카드가 지역별·교통수단별로 호환되지 않아 겪었던 불편도 해소할 수 있게 됐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은 기존 카드로 호환 사용할 수 있으며, 수도권 외의 지역에서는 각 지방의 보훈(지)청에서 새 카드를 발급 받아야 한다.

◇6·25전몰군경자녀수당 모든 자녀 균등 분배

자녀들 간 협의가 이뤄지지 않은 경우 연장자에게 우선 지급되던 6·25전몰군경자녀수당이 새해부터 모든 자녀에게 균등 분할돼 지급된다.

이와 함께 수급권 이전 제한을 폐지해 모든 자녀가 사망할 때까지 수당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했다.

개정된 국가유공자법에 따라 균등 분할 지급은 1월부터 바로 시행되며, 수당 분할지급을 원하는 경우 가까운 보훈(지)청에서 신청해야 한다.

◇주택개량 대부 타 대부와 중복 지원

올해부터 주택개량 대부와 다른 대부를 당해연도에 중복 지원 받을 수 있게 됐다.

현재까지는 주택·농토구입 대부, 사업 대부 등 보훈처에서 지원하는 대부의 경우 생활안정 대부를 제외하면 같은 해에 한 가지의 대부만 지원받을 수 있었다. 즉 주택개량 대부를 받은 해에는 농토구입 대부나 사업 대부 등을 중복 지원받을 수 없었다.

이번 제도 개선으로 예를 들어 1월에 주택개량 대부(800만원)를 받은 사람도 8월 사업 대부(2,000만원)를 추가로 받을 수 있게 됐다.

◇보훈대상자 대출 규제 완화

사업(창업) 대부 또는 농토구입 대부를 이용하는 보훈대상자들의 재대출 기한이 기존 3년에서 2년으로 단축되는 등 대출 규제가 완화됐다.

하반기부터는 또 나라사랑 대출에 온라인 신청 시스템을 도입해 대출서류가 비교적 간소한 ‘생활안정 대부’부터 시범 실시하고 이를 전체 대부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주거취약계층 긴급 특별지원

주택 우선 공급 대상자 중 고시원, 비닐하우스 콘테이너, 판잣집 등의 비주택 주거환경에 3개월 이상 거주 중인 경우 일부 임대주택(영구임대·기존주택임대·통합공공임대)에 한정해 특별지원하는 제도가 도입된다.

보훈대상자의 주거 안정을 위한 긴급·긴요 특별지원의 일환인 이 제도는 요건을 갖춘 대상자가 주택 우선 공급 신청서와 구비서류를 보훈관서에 제출하면 주택우선공급심사위원회 심사를 거쳐 1회에 한해 주택을 우선 공급하게 된다.

◇위탁병원 감면대상자 약제비 지원

75세 이상 참전유공자·재일학도의용군인·무공수훈자 본인이 위탁병원을 이용할 경우 진료비와 함께 약제비까지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감면대상자가 위탁병원 진료 시 약제비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위탁병원에서 약 처방을 받은 후 비용을 먼저 부담한 후 주소지 관할 보훈(지)청에 최초 1회 ‘약제비용 지급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지급되는 약제비용의 연간 지급 한도액은 75세 이상 참전유공자와 재일학도의용군인의 경우 25만2,000원, 75세 이상 무공수훈자의 경우 16만원이며, 약제비는 매분기(3월, 6월, 9월, 12월) 15일에 지급된다.


Comment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2025년 보훈급여금 월지급액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보훈유족 지급액 댓글+20 2024.10.05 41738 0
[보훈지원] 2024년 대상분류별 국가유공자 참전 보훈대상자등 보훈지원 안내자료 2021.03.28 27037 2
[공지] 2022년 제20대 대통령선거 국사모 보훈정책공약 주요핵심요구안 댓글+12 2021.10.15 16071 1
[공지] 신체검사, 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 등록 상담안내 댓글+4 2014.03.03 22567 1
1730 [공지]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 국회 의결, 참전명예수당 월5만원 인상안 전액 삭감 14:25 289 0
1729 [긴급공지]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 정무위 의결, 보훈의료 참전명예수당 등 댓글+4 07.02 1494 2
1728 [제휴협찬] 교육전문기업 장원교육, 국가보훈대상자 수업료 무료(사회복지사, 미용사 등) 댓글+1 06.18 1019 0
1727 [공지] 월남참전유공자 제복 문의, 제품교환, 신청 문의 (해외거주자, 미신청자) 06.09 487 1
1726 [공지] 국사모 유튜브, 카카오톡 채널에 가입하시면 관련 소식을 보내드립니다. 06.08 495 0
1725 [공지] 이재명 대통령 제70회 현충일 추념사,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주어져야 댓글+8 06.06 2517 1
1724 [공지] 이재명 대통령 취임사, “진보 보수 없다. 모두의 대통령 되겠다” 06.04 884 1
1723 [대선 정책공약집] 2025 제21대 대선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보훈정책공약" 발표 댓글+8 05.29 5545 2
1722 [보훈공약_텍스트] 2025년 제21대 대통령선거 국사모 보훈정책공약 주요핵심요구안 댓글+16 05.13 7278 4
1721 [보훈공약_PDF] 2025년 제21대 대통령선거 국사모 보훈정책공약 주요핵심요구안 05.13 1549 0
1720 [유튜브] 월남참전 노병의 마지막 소원. 미지급 전투수당 지급. 그리고... 05.07 3197 0
1719 [공지] ‘호국보훈의 달’ 보훈대상자 무료 건강검진 실시 (5.1~) 05.06 1841 0
1718 [국회] 정무위 국가보훈부 소관,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 993억4,200만원 증액 통과 댓글+1 04.29 1786 0
1717 [보훈부] 국가유공자 ‘공설 화장시설 이용요금 면제’ 혜택 서류 간소화 댓글+3 04.27 1264 0
1716 [정책] 김성태 구리시의원, “국가유공자 마을버스 무료 이용 지원 필요” 04.25 851 1
1715 [국회] 2025년 보훈보상 정책포럼, 국가책임과 보훈보상제도 발전 방향 (2025.03.19… 댓글+1 04.24 2460 0
1714 [보훈부] ‘국가보훈대상자 주택우선공급 온라인 지원시스템’ 구축 추진 댓글+2 04.21 1256 0
1713 [공지] 상이 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 등 보철차량의 "민자 유료도로" 통행료 유의 안내 댓글+3 04.20 3034 2
1712 [공지] 2025년 1학기 보훈가족장학 신청 안내 (~4.30) 04.17 760 0
1711 [공지] 포스코1%나눔재단의 국가유공자 첨단보조기구 지원 안내 04.17 662 0
1710 [제10회 서해수호의 날] 국가를 위한 희생을 끝까지 책임지고 지원하는 보훈 천명 03.29 687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