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 사각지대 없는 보훈” 국가보훈부, 2026년 예산 6조 6,582억원 편성
- 2025년 6조 4,467억원 대비 2,115억원(3.3%) 증가
① 생존 애국지사 예우 강화 및 보상금 인상
· 생존 애국지사 특별예우금 2배 인상, 국가유공자 보상금 5%·참전수당 3만원 인상
② 사각지대 없는 보훈 구현
· 참전유공자 배우자 생계지원금 및 재해부상군경7급 부양가족수당 신설
③ 보훈의료 지역 격차 해소 및 접근성 강화
· 강원·제주에 준보훈병원 지정·운영, 보훈위탁병원 대폭 확대
④ 신규국립묘지 조성 준비
· 충남권 호국원 신설 타당성 조사 및 대전현충원 구청사 참배객 휴게공간 활용
⑤ 세심하고 따뜻한 보훈사업 추진
· 인공지능(AI)기반 안부확인, 국립묘지 카트 23대 확충, 6·25전몰군경유족 헌정패 수여
⑥ 현장 공무직 근로자 처우 개선
· 전체 공무직 명절상여금 평균 2배 이상 인상, 국립묘지 공무직 특수지근무수당 신설
국가보훈부(장관 권오을)는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 사각지대 없는 보훈’을 위해 2026년도 소관 예산안을 올해 6조 4,467억원 대비 2,115억원 (3.3%) 증가한 6조 6,582억원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국가보훈부는 이를 통해 2026년도에 ① 생존 애국지사 예우 강화·보상금 인상, ② 사각지대 없는 보훈 구현, ③ 보훈의료 지역 격차 해소, ④ 신규 국립묘지 조성 준비 등에 중점 투입한다.
또한, 보훈대상자 간 보상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보상수준이 낮은 7급 상이자 보상금과 6・25전몰군경(신규승계)자녀 수당을 추가 인상하였다.
* 7급 상이군경 보상금 6.5%(’25년 65.1만원 → ’26년 69.3만원), 6・25신규승계유자녀 수당 12.3%(’25년 58.5만원 → ’26년 65.7만원)
② (사각지대 없는 보훈 구현) 참전유공자 사망 후 남겨진 고령·저소득 배우자에게 생계지원금을 지급하고, 부양가족수당 지급 대상을 재해부상군경7급으로까지 확대하였다. 이를 통해 2만여 명(생계지원금 15,800여 명, 부양가족수당 3,800여 명)의 보훈대상자가 추가로 수혜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는 보훈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그동안 제도적 지원의 혜택을 충분히 받지 못했던 분들에게 실질적인 생활 안정을 뒷받침하기 위한 조치이다.
③ (보훈의료 지역 격차 해소) 보훈병원이 없는 강원 및 제주 지역에 보훈병원에 준하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준보훈병원’을 도입하고, 의원급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위탁병원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역 간 의료 격차를 해소하고, 의료 접근성이 낮아 불편을 겪던 보훈대상자분들이 보다 가까운 곳에서 전문적이고 안정적인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위탁의료기관 확대 (현재) 920 → (’26) 1,200 → (‘30) 2,000개 (年 +200개)
④ (신규 국립묘지 조성 준비) 국가유공자 등의 마지막 예우를 다하기 위해 유일하게 호국원이 없는 충남권에 호국원 신설을 위한 타당성 조사를 추진, 지역 불균형을 해소하고 유족 접근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내년 초 신청사로 이전 예정인 대전현충원 구청사를 참배객 휴게공간 및 현장근로자 사무공간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⑤ (세심하고 따뜻한 보훈사업) 고령 독거 국가유공자를 위한 인공지능(AI) 안부확인 서비스를 도입하고, 고령 참배객 편의를 위해 국립묘지 카트 23대를 확충할 계획이다. 또한, 내년부터 6·25전쟁 전몰군경유족에게 헌정패를 제작·수여(총 35,000여 명)하고,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업을 통해 지역별 보훈단체의 보훈문화 프로그램과 연계한 중식 지원도 새롭게 추진한다.
이는 국가유공자와 유가족의 일상에 꼭 필요한 보훈서비스를 확대하여 생활 속에서 따뜻한 예우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⑥ (현장 공무직 근로자 처우개선) 전체 공무직 근무자(1,729명)들의 처우개선을 위해 명절상여금을 평균 2배 이상인「연 110만원에서 월 기본급의 120%」로 인상하여 공무직 인건비를 편성하였다.
또한, 열악한 국립묘지 현장에서 국가유공자의 마지막을 지키는 공무직(실무관, 514명) 근로자들에 대한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 특수지근무수당을 신설(월 3만원)하였다.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은 “나라를 위한 희생과 헌신에 보답하는 보훈정책은 넓고 두텁게, 넘칠지언정 부족하지 않아야 한다”라며 “특히, 특별한 희생을 특별한 보상으로 예우하고, 공동체를 위한 헌신이 최고의 명예로 존중받을 수 있도록 선진국에 걸맞는 보훈체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마디 할께요...
보훈단체, 보훈공단, 보훈병원에 집행하는 인건비, 시설장비유지비, 지하철, 대중교통 무임 등에 들어가는 예산을
보훈급여에 반영하여 개인적으로 필요한 분야에 지출하면
전국 상이국가유공자(보훈대상자)가 공평하게 혜택을 볼 수 있다.
이해관계가 맞물려 있으니까 보훈공단 및 보훈병원 등을 직접 운영하는게 아닐까요?
회원님들 의견이 궁금합니다.
짱또라이12:41
좋은말씀 하셨습니다.
보훈단체는 존재의미가 없어진지 오래고
보훈공단은 없어져야 하는게 아닌지 생각됩니다.
국가가 국가유공자에 대한 보상을 제대로 하는것은 당연입니다.
보훈부와 전국 각 지청이 하는 역할이 너무 미흡니다.
선진국은 정부와 공공기관이 다양한 수익사업을 통해 지원을 아끼지 않지만 우리는 말로만 두텁게 한다고 하니..
2027년에는 나아질런지
대의원16:15
생존 애국지사 특별예우금 2배 인상
몇분이 생존해 계시는지 검색하니깐 5명 입니다.
보훈부에 따르면 생존 애국지사 특별예우금은 기존 월 157만∼172만 원에서 315만∼345만 원으로 2배로 인상된다.
보훈단체, 보훈공단, 보훈병원에 집행하는 인건비, 시설장비유지비, 지하철, 대중교통 무임 등에 들어가는 예산을
보훈급여에 반영하여 개인적으로 필요한 분야에 지출하면
전국 상이국가유공자(보훈대상자)가 공평하게 혜택을 볼 수 있다.
이해관계가 맞물려 있으니까 보훈공단 및 보훈병원 등을 직접 운영하는게 아닐까요?
회원님들 의견이 궁금합니다.
보훈단체는 존재의미가 없어진지 오래고
보훈공단은 없어져야 하는게 아닌지 생각됩니다.
국가가 국가유공자에 대한 보상을 제대로 하는것은 당연입니다.
보훈부와 전국 각 지청이 하는 역할이 너무 미흡니다.
선진국은 정부와 공공기관이 다양한 수익사업을 통해 지원을 아끼지 않지만 우리는 말로만 두텁게 한다고 하니..
2027년에는 나아질런지
몇분이 생존해 계시는지 검색하니깐 5명 입니다.
보훈부에 따르면 생존 애국지사 특별예우금은 기존 월 157만∼172만 원에서 315만∼345만 원으로 2배로 인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