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점 받는 유공자 자녀란 이유로 ‘왕따’에, 병원 신세까지 진 사람이 있다니 정말 마음 아프고 어이가 없어요.”

“가산점 받는 유공자 자녀란 이유로 ‘왕따’에, 병원 신세까지 진 사람이 있다니 정말 마음 아프고 어이가 없어요.”

토론방

“가산점 받는 유공자 자녀란 이유로 ‘왕따’에, 병원 신세까지 진 사람이 있다니 정말 마음 아프고 어이가 없어요.”

김재훈 0 825 2005.10.14 15:11
카카오채널 추가하세요 | 카카오톡상담 | 국사모 유튜브채널 구독
국사모블로그 | 국사모페이스북 | 유공자상패주문 | 유공자표구액자
보훈등록 신체검사 안내 | 보훈등록 신체검사 상담 | 국사모 쇼핑몰
“가산점 받는 유공자 자녀란 이유로 ‘왕따’에, 병원 신세까지 진 사람이 있다니 정말 마음 아프고 어이가 없어요.”

공직 시험에서 부여되는 ‘국가유공자 가산점’을 두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이를 바라보는 유공자 자녀 정수련(24·여)씨의 마음은 편치 않다. 그는 현재 한 포털사이트에 서 ‘국가유공자 자녀 카페’를 운영하며 유공자 자녀들의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요즘 유공자 자녀라고 밝히기도 겁난다던데 사실이냐’는 물음에 그는 한 유공자 자녀가 겪은 사연을 소개했다.

“작년 봄, 한 유공자 자녀로부터 상담 메일을 받았어요. 교대를 다니는 분이었는데, 가산점을 받는다는 이유로 주위에서 유공자 자녀들을 하도 비난하니까 ‘나는 숨기고 있어야겠다’고 생각했대요. 그러다 우연히 그 사실이 밝혀졌는데, 바로 따돌림 당했대요. 충격으로 정신과 치료까지 받았다더군요.”

정씨는 “학원에 임용고시 모의고사를 보러 갔다가 ‘유공자 가산점’란에 체크하는 걸 본 한 친구가 소문을 퍼뜨렸고 그 때부터 가장 친했던 친구마저 그를 따돌리기 시작했다”며 “이후 학교를 숨어 다니고 학원도 옮겨야 했고, 모의고사 등을 볼 때도 제일 뒤에 웅크리고 앉아 몰래 체크했다면서 고통과 두려움을 호소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가산점 받으려고 유공자 자녀로 호적까지 파서 옮긴다’는 소문까지 떠돌아 정씨를 당혹스럽게 하고 있다. 지난 6일 공무원시험 열풍을 다룬 한 방송에 나온 수험생들은 ‘유공자 입적 제의를 받는다면’이란 물음에 하나 같이 “내게도 그런 제안이 온다면 받아들일 것 같다”고 말했다. 방송을 봤다는 한 유공자 자녀는 카페 게시판에 “사회자들이 ‘유공자 자녀들은 감히 우리 아버지가 유공자라고 말도 못하는 사회가 됐다’고 하던데 정말 그런 날이 왔다”고 말했다.

정씨는 “국가보훈처에선 그런 사례가 거의 없다고 하는데 왜 자꾸 일반적인 것처럼 보도가 나오는지 모르겠다”며 “국민들이 자칫 유공자 자녀에 대해 왜곡된 인식을 갖게 되지 않을까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작년 11월엔 한 방송사 아침 프로그램에서 유공자와 자녀들을 ‘국가귀공자’라고까지 표현했다”며 “강하게 항의했더니 결국 사과방송을 했다”고 말했다.

국가유공자 및 자녀의 가산점 논란은 작년 11월 교원 임용고시에서 시작됐다. 4300여 명의 일반 지원자들은 유공자 가산점제가 공무담임권 제한 및 직업선택의 자유 침해라며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을 냈다. 이 과정에서 “자기들이 총 들고 싸운 것도 아닌데 왜 쓸데없이 유공자 자녀들에게 가산점을 주느냐” “실력 없이 가산점으로 교직에 밀고 들어가는 건 부당하다”는 등의 의견이 쏟아졌다. “유공자 가산점이 합헌판결 난다 해도 국민들의 눈길 받으면서 어찌 살까” “애미, 애비 덕만 본다”는 등 비난·비방성 글도 인터넷에 올라왔다.

논란이 커지자 정부는 올해 7월부터 국가유공자와 그 자녀 중 공무원·공기업 시험에서 유공자 가산점 혜택으로 합격하는 사람의 비율이 30퍼센트를 넘지 못하도록 제한했다. 그러나 같은 달 “국가유공자 등의 후손에게 시험단계마다 가산점을 주는 것은 일반 응시자의 공무담임권 등을 침해한다”는 위헌법률심판까지 제청돼 제도 자체의 존재 여부가 도마에 올랐다. 유공자 자녀 가산점 논란은 이처럼 좀체 가라앉지 않는 분위기다.

“사실 일반인들은 예전만 해도 유공자나 자녀가 받는 혜택이 뭔지 관심도 없었잖아요. 그런데 경기가 어렵고 취업이 힘들어지면서 많은 사람이 공무원 시험에 몰리다 보니 갑자기 가산점을 문제 삼기 시작한 것 같아요. 이해 안 가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유공자 자녀들을 인격적으로까지 비난하는 건 옳지 않아요.”

베트남전 참전 뒤 30년 넘게 직업군인으로 생활한 정씨의 아버지는 고엽제 후유증으로 폐암을 앓다가 5년 전 순직했다. 졸지에 가장을 잃은 상황에서 유족 보상금마저 누락돼 그의 가정 형편은 심하게 기울었다. 어머니도 아픈 무릎 때문에 거동이 불편해 자녀들을 뒷바라지 할 수 없었다. 그나마 유공자 자녀에게 주어지는 학비 혜택 덕분에 세 자녀 모두 대학에 갔지만 생활비 감당은 힘들었다. 어쩔 수 없이 막내인 남동생이 최근 휴학을 하고 “두 누나라도 먼저 졸업해야 한다”면서 웨이터로 일하고 있다.

“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셔서 막막했어요. ‘하루 빨리 취직해 집안 경제부터 되살려야 한다’는 생각이 조급하게 밀려왔어요. 그러다 보니 저도 가산점 혜택이 주어지는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게 됐어요. 유공자 자녀 중엔 저처럼 아버지께서 돌아가셨거나 신체적 장애를 갖고 계셔서 생긴 가정의 어려움으로, 가산점이나마 받아 얼른 취직해야겠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을 거라 생각해요.”

정씨는 “왜 유공자 자녀가 됐는지, 그들의 부모님이 어떤 희생을 겪으셨는지는 생각하지 않고 단지 가산점 하나 때문에 이상한 사람, 나쁜 사람 취급은 하진 말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28 [필독] 버스 !!! 이젠 마음 편히 탈 방법이 없을까요? 댓글+10 국사모 2006.09.03 1408 0
127 [성문조사결과] 2006.8.12~9.3 여러분들의 상이처는 어디이십니까? 댓글+2 국사모 2006.09.03 978 0
126 정부 장애인 복지위해 2010년까지 4조8000억 투입 댓글+12 임세훈 2006.09.04 1455 0
125 [의견수렴] 국가유공상이자의 시내버스이용에 관한 계약업무를 상이군경회에서 국가보훈처로 이관 댓글+4 국사모 2006.09.20 1053 0
124 7급 기본연금 인상을 위하여 댓글+4 우흥석 2006.09.22 1899 0
123 선박이용? 많이들 이용안하시죠? 댓글+4 남궁민 2006.09.27 1245 0
122 [공지] 2007년도 보훈예산 안내 댓글+3 국사모 2006.09.27 1753 0
121 7급유공자(연금) 댓글+12 이종길 2006.09.27 2825 0
120 글쓰는 수고를 댓글+2 우흥석 2006.09.29 1026 0
119 4. 보훈처홈에서 퍼온글-보훈단체 정화와 더블어 거듭나는 계기 반드시 되어야 바람직 댓글+1 박재신 2006.10.08 809 0
118 국사모에 바란다[우리들도 이렇게 못하는 이유는?] 댓글+3 김영춘 2006.09.18 1113 0
117 7급유공자 기본연금인상현실화에 대한 보훈처의견해 댓글+12 한동우 2006.10.09 5102 0
116 교육비 지원 댓글+5 우흥석 2006.10.11 1326 0
115 의료급여 제도혁신에 대한 국민보고서 - 복지부에서 퍼온글 댓글+2 최민수 2006.10.13 1013 0
114 유공자 차량 해택 기존대로 유지되나요? 댓글+2 최남규 2006.10.18 1414 0
113 [보훈처]「국가보훈발전기본계획」('06~'10) 발표 댓글+4 국사모 2006.10.19 1271 0
112 [설문조사결과] 2006.10.02 ~ 10.23 여러분의 최대관심사는 무엇입니까? 댓글+2 국사모 2006.10.23 934 0
111 [공지] 국사모 멘토링사업을 시범적으로 실시합니다. 댓글+4 국사모 2006.10.24 1678 0
110 보훈처 토론 - 군복무관련 "비공무상 질환자" 지원방안 최민수 2006.10.31 1165 0
109 보훈처 토론 - 가산점제도 헌법불합치 관련 토론 최민수 2006.10.31 943 0
108 보훈처 토론 - 수송시설 이용보호 제도 개선방안 댓글+1 최민수 2006.10.31 1608 0
Category

0505-379-866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Comodo SSL